[당진]라돈 매트리스 사태가 야적장 인근 마을을 넘어 당진시 전역으로 확대 조짐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 현실적으로 반출이 어려운 상황에서 현실적인 타협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어 이번주가 사태의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라돈 매트리스는 한때 송악읍 고대1리 주민들과 해체합의로 타결되는 듯 했지만 인근 마을과 학부모들의 강한 반발로 인해 무산됐다. 이어 1인 시위 등 반대 집회가 계속되는 상황으로 최근에는 일부 시민들이 가칭 시민대책위원회 구성을 제안하며 매트리스 반출을 위한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특히, 대진침대가 지난 15일로 동부항만 야적장과의 임대계약이 만료됨에 따라 해체를 강행하겠다는 의사를 보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반발이 고조되고 있다.

김희봉 전 당진시농민회 협개위원장은 "무릎 꿇고 백배사죄해도 용서 못할 것인데 무시당한 것 같아 분노가 치민다"며 "정부와 대진 측의 오만불손을 꾸짖고 올바르고 빠른 해결을 위한 시민대책위 구성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마땅한 대안이 없는 상태에서 안전성이 담보된다면 가능한 빠른 시간 내 해체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상당하다.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추진 당시 찬반 논쟁으로 지역민간 아픔을 겪어 봤던 터라 당진시 전체 문제로 확대해서는 안된다는 이유다.

더욱이 야적장 인근 마을 주민들 중에서도 상당수가 당진시 전역으로 사태가 확대되는 것을 원치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진1리 주민A씨는 "우리도 계획이 있는데 자꾸 외부에서 사태를 확대시키면 결정권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냐"며 "안전보장과 충분한 설득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켜봐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당진시도 사태가 확대될 경우 정부와 주민 사이에서 중재 역할이 축소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우려하고 있다.

특히,원안위나 환경부에서 매트리스가 부적격제품의 리콜 상태이기 때문에 야적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어서 정부를 상대로 시민들과 함께 무조건적인 투쟁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시는 22-23일 중 사회단체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이 문제에 대한 여론을 수렴해 빠른 해결책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당진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합의가 최우선이지만 지자체의 권한이 없는 상태에서 대진침대의 자금력이 고갈된다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정부와 주민들 간 협의가 원만히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대진침대나 정부 측에서 당진주민들이 매트리스 해체 작업을 수용할 경우 안전은 물론 주민숙원사업 등의 보상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진영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