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사 칼럼] 다한증

`무더운` 여름이 아니라, `무서운` 여름이다. 푹푹 찌는 날씨에 입맛도 떨어지고, 땀도 떨어진다. 흐르는 땀으로 얼굴, 겨드랑이, 손발, 사타구니는 더욱 괴로워진다. 한여름에 생기는 과도한 땀을 우리는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땀은 혈액과 같이 대부분이 수분이다. 인체 내의 수분이 땀으로 배출되면서 무더위로 달궈진 몸의 정상 체온을 유지해준다. 문제는 지나치게 많은 땀이 나오는 것인데, 이것은 바로 다한증의 모습이다.

한의학에서는 인체의 배설물이면서 동시에 필수물인 땀을 혈액과 같은 것으로 본다. 따라서 땀의 이탈을 피가 새는 것만큼이나 중요시 여긴다. 동의보감에는 기문(氣門), 혈문(血門)처럼 땀이 포함된 진액문(津液門)을 따로 편집해 놓았다. 허준 선생은 과연 다한증으로 인해서 핸드폰 터치가 되지 않아 울상을 짓고, 또는 화장을 못해 괴로운 현대인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부위별로 살펴보면 머리와 얼굴에서 땀이 나는 것은 양기가 허한 것으로 보아, 양기를 돋궈주는 처방을 썼다. 또는 위(胃)의 기운이 너무 지나 친 것으로 보아, 위의 열을 쳐주는 방법을 썼다. 겨드랑이에서 나는 땀은 심혈(心血)이 지나쳐서이니, 곧 과도하게 신경을 써서 교감신경이 과잉항진된 것으로 본다. 이럴 때도 심장의 기운을 올려주는 인삼을 위주로 한다. 손과 발에 땀이 나고, 무좀이 심한 것은 위(胃)에 습열이 너무 많은 것으로 보고, 습열을 대변으로 빼내는 치법을 제시했다. 사타구니에 땀이 차는 것은 신(腎)의 양기가 쇠해서 온 것으로 본다. 따라서 소위 정력제라고 부르는 신(腎)의 양기를 올려 주는 처방을 쓴다.

결국 보태주거나 빼주는 보사법을 이용한다. 인체에 부족한 부분을 보태 주고, 잉여된 부분을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이 다한증치료의 큰 갈래인 것이다. 땀이 나는 국소적인 부위에 주목하기보다 오히려 인체장기의 어느 부분이 원인일까 찾아보고,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근원치료, 뿌리치료라 할 수 있다.

실제 한약국에서 다한증을 호소하는 남성의 대부분은 음주가 일상화된 애주가들이 대다수였다. 따라서 알코올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머리와 얼굴에 비 오듯이 땀이 난다면 반드시 절주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이들은 대부분 매운 음식을 좋아하는데, 매운 음식은 땀샘을 더욱 자극하므로, 매운 음식을 멀리하는 것이 다한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 입시를 앞둔 고3학생이나, 취업을 위해 오랜 수험생활을 하는 분들은 과도한 긴장과 압박감, 체력저하로 인해 다한증이 유발된다. 다한증환자치고 예민하지 않은 사람은 별로 없다. 교감신경의 흥분과 긴장이 몸의 악순환을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힘든 일상에서도 하루에 일정시간은 반드시 산책이나 스트레칭을 이용해 몸의 긴장도를 낮춰주는 습관이 필요하다. 이뿐만 아니라 다한증은 출산후유증, 갑상선질환이나 갱년기질환 등에서도 일시적으로 흔하게 동반될 수 있으므로, 땀이 과도하게 난다면 인체 어딘가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조선의 양반들은 무더운 여름, 부채를 선물했다. 한여름을 부채 하나에 의지할 `깡`이 후손인 우리에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열치열로도 당해낼 수 없는 여름이다. 의지가 아무리 강한들 `몸`을 가진 인간이다. 무서운 여름, 무더운 여름, 무리하지 마시길. 김정수 원광한약국 한약사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