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의 크기 증가와 다른 조직으로 전이되는 정도의 연관성이 밝혀졌다. 육종인 교수(연세대학교) 연구팀이 암 전이와 증식을 조절하는 신호전달 체계의 조절 과정을 규명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은 24일 밝혔다.

우리 몸에 암이 발생하면, 그 크기가 커질수록 주변 림프절 및 다른 조직으로 전이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반대로 암의 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전이되는 경우도 있어, 암 전이와 증식의 관계는 여전히 비밀에 쌓여있다.

연구팀은 암세포의 전이에 관여하는 윈트(Wnt) 신호전달과 암세포의 증식을 조절하는 히포(Hippo) 신호전달의 상호조절 관계를 규명했다. 윈트 신호전달의 활성인자인 디셰벌드(Dishevelled)가 히포 신호전달의 조절인자인 YAP의 활성을 조절함이 밝혀졌다.

선행연구들은 YAP이 윈트 신호를 억제조절한다는 개념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은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 YAP이 대표적인 암신호전달체계인 윈트 신호의 활성을 억제한다고 하는 자가당착에 빠지는 오류가 있었다.

연구진은 기존 연구와는 반대로 DVL에 의한 YAP 활성조절 가능성을 규명해 내기 위해 집중했다. `윈트 신호에 의한 YAP 활성조절`이라는 연구가설을 세워 DVL에 의해 윈트 신호와 YAP 활성이 동시에 조절될 수 있음을 세포실험, 생체 종양생성실험 및 임상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디셰벌드는 인산화된 형태의 YAP과 결합해 세포핵 밖으로 이송함으로서 YAP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막는다. 디셰벌드가 YAP을 억제하지 않으면, 윈트 신호와 YAP이 동시에 활성화되면서 암이 확연히 증식한다. 종양억제인자가 손실돼 YAP이 인산화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육 교수는 "이 연구는 암세포의 전이와 증식을 유기적으로 조절하는 신호전달 조절 기전을 규명한 것으로, 암의 예후 예측에 제대로 된 지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용민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