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참고이미지. 사진=건양대병원 제공
치매 참고이미지. 사진=건양대병원 제공
치매는 정상적으로 활동하던 사람이 뇌의 각종질환으로 인해 지적능력을 상실하게 되는 경우를 뜻한다. 때문에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치매증상은 일반적으로 환자나 보호자도 눈치 채지 못할 정도로 서서히 진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진단이 어렵다. 윤보라 건양대병원 신경과 교수의 도움말로 치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건망증과 치매= 건망증은 어떤 사실을 잊었더라고 누가 귀띔을 해주면 금방 기억해 내는 현상으로 정상인에게도 흔히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기억장애는 귀띔을 해줘도 기억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건망증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기억장애 외에도 방향감각 저하, 판단력저하 등 다른 사고력에도 장애를 보일 때가 있을 때 비로소 치매라고 한다. 단순 기억장애에서 치매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기억장애가 있을 때 반드시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기억장애가 수 개월을 두고 갈수록 심해지거나 다른 판단력이나 사고력의 저하가 동반됐을 때 특히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치매의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기억장애이다. 전화번호나 사람이름을 잊어버리고 약속을 깜빡 하거나 약을 먹는 시간을 놓칠 수도 있다. 어떤 일이 언제 일어났는지 기억하지 못하고 같은 질문이나 이야기를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몰라 찾을 때가 빈번해지고, 최근 기억에 비해 아주 젊었을 때나 오래 전에 일어났던 일들을 잘 기억하는 편이다. 따라서 옛날 일을 잘 기억하기 때문에 기억력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오산이다.

또 다른 증상으로는 언어장애가 있다. 사물의 이름이 금방 떠오르지 않는 다거나 적절한 표현을 찾지 못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읽기, 쓰기 장애도 나타나며 공간지각능력이 떨어져 방향감각이 떨어지거나 심해지면 길을 잃고 헤맬 수 있다.

◇치매의 진단= 환자가 기억장애, 언어장애, 시·공간능력 저하, 성격 및 감정의 변화, 추상적 사고 장애, 계산력 저하 등 뇌의 여러 기능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경우를 치매라 한다. 이런 뇌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검사자와 환자가 마주 앉아서 대화도 해보고 환자가 글씨를 쓰고 그림도 그리게 해 봐야 한다. 여러 자극을 제시하고 이런 것을 얼마나 잘 기억하는 지도 확인해야 한다. 이런 검사들을 신경심리검사라고 한다. 예를 들어 다른 기능은 다 좋으나 기억력만 떨어져 있는 경우는 치매가 아닐 가능성이 많다. 또 다른 기능은 다 좋은데 언어기능만 소실되면 치매라기 보다는 실어증에 해당된다. 따라서 신경학적검사와 신경심리검사, 언어검사는 뇌 영상검사(CT, MRI, PET)나 혈액검사와 함께 치매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 질병= 많은 사람들은 치매를 한 가지 병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치매는 진단명이 아니라 두통처럼 일종의 증상이고 두통을 일으키는 원인, 증상이 수없이 많은 것처럼 그 원인은 다양 하다. 알츠하이머병으로 대표되는 퇴행성질환과 혈관성치매 등 뇌혈관 질환, 대사성질환, 내분비 질환, 감염성 질환, 중독성 질환, 경련성 질환, 뇌수두증, 뇌종양 등이 해당된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원인은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치매다.

퇴행성 질환을 제외 하고는 치료가 가능하거나, 조기 발견 시 더 이상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치매가 많다. 수두증(뇌에 물이 차는 병), 뇌 양성종양, 갑상선질환, 신경계 감염, 비타민 부족증에 의한 치매는 전체 치매의 10-15%를 차지하며 치료가 가능하다. 특히 우리나라에 많은 혈관성치매의 경우 조기에 발견하면 더 이상의 진행을 막을 수 있고 예방이 가능하다.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윤보라 건양대병원 신경과 교수.
윤보라 건양대병원 신경과 교수.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