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미래핵심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충북의 준비수준이 전국에서 하위권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나 신 산업육성과 발굴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최근 충북도가 중국 사드 보복 논란 등 국·내외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제상황을 진단하고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진행했던 민관합동 워크숍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산·학·연 연계 거버넌스 구축 필요성이 제기됐다.

27일 충북도, 국토연구원 등에 국토연구원이 전국 4차 산업혁명 준비수준을 분석한 결과, 충북은 전국 16개 시도 중 10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대비 지역 ICT 관련 산업 생산액인 산업구조는 5위로 우수하지만 전국 대비 지역 석박사 인구비율인 인적자본은 13위에 머물고 있다. 시장의 유연성을 평가하는 전국 대비 지역 기업 신생률인 시장유연성은 14위로 하위권을 맴돌고 있다.

정초시 충북연구원장이 발표한 `4차 산업혁명 변화 속에서의 충북 미래설계`에서는 다가오는 신성장 패러다임인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 시장유연성 등 충북이 지닌 취약점에 대한 차별화된 대책수립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충북의 최약점으로 평가된 인적자본은 4차 산업혁명과 바이오 등 충북의 신성장 동력산업에 부합하는 인력을 자체 육성할 수 있는 선 순환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정 원장은 진단했다. 특히 지역 기업체 수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인재육성과 시장 유연성 확보를 위해서는 4차 산업 중심의 창업 생태계 선 순환 구조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민·관은 세계 경제의 저성장 고착화와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라 지역의 투자유치 전망은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중동, 동남아, 남미 등 신흥시장 개척으로 중국위주의 무역시장을 극복하고 신 산업 육성을 통한 4차 산업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이와 함께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급격히 감소한 요커 문제와 일명 `김영란법` 시행으로 요식업계와 농축산업계가 입고 있는 심각한 타격도 극복해야 할 당면 과제로 꼽으며 이에 대한 충북도의 내수활성화 대책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두표 도 정책기획관은 "앞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산·학·연 연계 거버넌스 구축에도 나설 방침"이라며 "국내외 위기상황 극복을 위해 바이오와 화장품·뷰티, 태양광 등 도가 육성해 온 6대 신성장산업과 함께 기후환경산업, 무예산업, 첨단형 뿌리기술산업 등 3대 유망산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대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