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상가시장 허와 실]

세종시 신도심(행정중심복합도시) 상가시장이 극심한 홍역을 앓고 있다.

행복도시는 `누구나 살고 싶은 세계모범도시`를 실현하기 위해 2030년까지 장기적 플랜에 맞춰 진행되는 국가차원의 계획도시다.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신도심 특성상 성장과정에서 각종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지만, 서민 생계와 직결된 상가시장의 경우 통증이 극에 달하고 있다.

신도심 상가 곳곳에서 `인구가 넘치는 도시에서 물품을 팔아 수익을 남기겠다`는 상인들의 기본 상식이 통하지 않고 있는 것. 도시 최종 완성 단계인 2030년쯤을 바라보며 `시간이 약`이라고 위안을 삼기엔 벼랑 끝으로 내몰리는 이해 당사자들이 넘쳐나고 있다.

수 백억 원의 개발비용을 들여 `세종시 드림`을 실현하기 위해 뛰어든 건설사들이 고꾸라지는 일도 적지 않다. 공사를 마친 이후 텅 빈 상가 탓에 수익을 얻지 못하는 구조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물론 공무원 단체 손님을 몰고 가면서 승승장구하는 상가도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행복도시는 생활권별로 순차적 개발이 진행되는 탓에, 호황을 누렸던 상권이 불과 몇 년 사이에 원도심으로 추락하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표면적인 원인은 최고가낙찰제 등에 따른 높은 임대료, 공급 과잉 등이 꼽힌다. 하지만 내면을 들여다보면 무차별적인 인허가와 각종 규제, 사업제안공모의 부작용 등이 주된 원인이다. 특히 유동인구가 부족한 공무원 중심도시의 이미지가 강하다는 게 가장 큰 문젯거리다.

아이러니 한 점은 공동주택 시장은 `청약불패` 신화를 이어가고 있다는 것. 쾌적한 환경의 아파트에 들어서는 인구가 늘고 있는 도시이면서도, `텅 빈 상가`가 발생하는 기이한 현상은 시급히 풀어야 할 과제다.

도시개발의 지휘권을 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사업시행자인 LH 세종특별본부, 지자체인 세종시가 머리를 맞대고 고심하고 있지만 이렇다 할 해법이 도출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주소. 행복도시 착공 10주년을 맞이한 현 시점, 부동산 업계 질서를 바로 잡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는 때이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세종시지부 관계자는 "행복도시 착공 10주년을 맞이한 현 시점, 상가를 비롯한 세종 부동산 시장의 점검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상가시장 활성화를 위해 유동인구를 유입시킬 수 있는 행복청과 지자체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대묵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대묵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