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전철' 新 교통수단… 신·구도심 이원화, 現 버스 민영제 탈피한 교통공사 설립이 관건

세종시 신도심(행정중심복합도시)에 버스와 전철을 혼합한 신개념 교통수단인 `바이모달트램(GRT)` 도입이 추진된다.

또한 현재 운행중인 BRT(간선급행버스체계)의 규모를 두배로 확대한 `2층 BRT` 도입도 병행 추진돼 행복도시 내 교통 서비스의 질이 대폭 확충될 전망이다. 이 같은 신개념 교통수단 도입을 위해선 현행 세종시 버스 민영제를 탈피하고 공영제 전환을 통한 교통공사 설립이 관건이어서, 시의 향후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30일 세종시에 따르면 최근 한국교통연구원이 발표한 `버스중심의 대중교통체계 개편방안`의 연구용역 중간보고 결과 세종시의 버스운영체계를 신도심과 읍·면지역으로 이원화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이 도출됐다.

용역결과를 보면 신규운영주체(공영제)는 순환버스(신도시)와 BRT를 관할하며, 기존업체(세종교통)는 간선버스(읍·면)와 지선버스(읍·면)를 맡는 구조다. 새로운 운영체계를 도입하면서 기존업체의 경영합리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현재 신도심은 BRT 이용객 급증으로 인해 배차간격 축소 및 서비스 확대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 교통연구원은 트램 및 2층 버스 등 대규모 예산이 요구되는 신 교통수단 도입을 위해선 공영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기존의 1개 민간업체 독점시 모든 노선의 사업권을 소유하는 탓에 경쟁력이 떨어지고 자구노력 부재라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서비스가 저평가 될 수 있는 읍·면 지역은 시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리가 뒷받침 돼야 한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공영제 전환을 통해 교통공사 설립이 되더라도 읍면지역의 서비스 질 개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행복도시 시민들은 신개념 교통수단인 `바이모달트램`을 주목하고 있다. 행복도시는 당초 트램 도입을 목적으로 신도심 내 BRT 도로가 갖춰졌다. 2012년 하반기에도 국토교통부가 행복도시 내에서 바이모달트램을 시범운영하는 등 사업을 이어왔지만, 트램의 기술개발 과정에서 제작결함 등이 발생돼 사업이 멈춰선 것. 하지만 바이모달트램은 시범운영 과정에서 발생됐던 결함을 보완해 연내 인증 절차를 거쳐 내년부터 상용화 될 가능성이 높다.

세종시 신도심은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상황이며, 대중교통분담률을 높이기 위해선 신개념 교통수단 도입이 필수적 요소라는 게 지역의 공통된 견해다.

문제는 예산확보다. 세종시는 바이모달트램의 1대당 가격이 15억 원에 달하는 만큼 순차적인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행복도시 내 트램 도입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최초로 계획한 사업인 만큼 행복청이 앞장서 국비확보에 나설 경우 보다 효율적인 사업전개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행복청 관계자는 "행복도시에 트램 도입을 추진한 것이 맞다"면서 "현재로선 장기적인 플랜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수송 역량 등을 고려해서 검토해야 할 사항"이라고 전했다. 강대묵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대묵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