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등 시·도교육청, 5년간 탄성포장재 검사 '0'건 중금속 검출 위험성에도 방치… 학생 안전 무방비

충청권 학교 운동장의 우레탄 트랙이나 어린이 놀이시설 바닥재 등으로 설치된 탄성포장재와 관련해 지난 5년간 시·도교육청 차원의 유해성 검사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 학교 5곳 중 2곳은 탄성포장재와 관련한 품질기준이 제정되기 이전에 설치돼 납과 같은 유해성분이 기준치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지만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유해성 검사 계획조차 세워놓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29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의당 정진후 의원이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학교 탄성포장재에 대한 유해성 검사 현황을 분석한 결과 탄성포장재가 깔려 있는 전국 4469개 학교 중 시·도교육청이 유해성 검사를 실시한 곳은 1곳도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충청권에도 558곳의 학교에 탄성포장재가 설치돼 있지만 유해성 검사는 진행되지 않았다.

대전은 유치원 57곳, 초등학교 47곳, 중학교 30곳, 고등학교 24곳, 특수학교 3곳 등 총 161개 학교에 탄성포장재가 설치돼 전체 유·초·중·고 535곳 중 설치 학교가 30%에 달하지만 지난 5년간 한 차례도 유해성 검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충남은 전체 유·초·중·고 837곳 중 30%인 251곳, 충북은 585곳 중 18%인 103곳, 세종은 89곳 중 48%인 43곳에 탄성포장재가 설치돼 있지만 대전과 마찬가지로 지난 5년간 유해성 검사를 실시한 적이 없다.

문제는 이들 학교 중 40%가량이 탄성포장재와 관련한 품질기준이 제정되기 전에 우레탄 트랙 등을 설치해 유해한 성분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실제 제주 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해 하반기 제주의 초·중·고 29곳을 대상으로 학교 운동장의 탄성포장재를 검사한 결과 해당 학교 전부에서 납이 기준치를 넘어섰으며 가장 많은 곳은 기준치인 90㎎/㎏의 32.6배에 달하는 2931.9㎎/㎏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학교들은 모두 탄성포장재와 관련한 중금속 등의 기준치를 담은 한국산업표준(KS)이 제정된 2011년 4월 이전에 탄성포장재를 설치한 학교들이다. 충청권에서는 대전 89곳(53.4%), 충남 100곳(39.8%), 충북 31곳(30.1%), 세종 4곳(9.3%) 등의 학교가 품질기준이 없을 때 탄성포장재를 깔았다.

대전시교육청 관계자는 "우레탄 트랙 설치 이후 교육청 차원에서 따로 검사를 진행하지는 않지만 준공 당시 학교가 전문검사기관에 의뢰해 유해성 검사를 하도록 돼 있다"며 "학교 자체의 유해성 검사를 통해 인조잔디와 탄성포장재 등의 유해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대전시와 함께 재조정해주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예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