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증가세 빠르고 사회·경제적 손실 불구

대형 감염병의 국내 유입에 대처하기 위해 위기상황을 관리할 컨트롤타워 설립과 비상 상황 대비 매뉴얼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감염병은 다른 질환보다 빠르게 환자가 증가하며 경제적인 피해까지 초래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지만 현재 국내에는 감염병 발생에 대처하기 위한 매뉴얼은 물론 컨트롤 타워가 부재해 피해를 키울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감염병은 일반적인 만성질환과 달리 단시간에 병원체가 확산되면서 환자와 사망자를 낳고 경제적 피해도 초래한다. 20세기 초 발병한 스페인 독감 유행으로 세계 인구의 25-30%가 감염됐고 4000만-1억 명까지 사망해 제1차 세계대전의 사망자인 830만 명을 능가하는 인명피해를 초래했다. 사스 발생으로 인한 세계 경제적 손실도 500억 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지난 2009년부터 2010년 신종플루가 유행하면서 확진 환자만 75만 명이 발생했으며 263명이 사망했다. 2011년과 2012년 구제역 유행 당시 방제 등에 소요된 예산은 2조 1000억 원에 달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슈퍼박테리아연구센터 류충민 연구원은 26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개최한 `제2회 국민안전기술포럼`에서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대처 방안으로 조기감시 체제 구축과 신속한 정보분석 시스템 확립, 위기관리 등을 제시했다.

빅데이터 등 정보를 활용해 감염병 발생 추이와 위험 징후를 파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조기감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위험 수준과 감염병 확산 요인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되 신속하고 합리적인 대응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관련 예측 기술을 확보하고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위기관리 능력도 갖춰야 할 과제로 꼽았다.

류 연구원은 "치사율 0.2%였던 신종플루로 국내에서 263명이 사망했는데 치사율 49%인 에볼라 바이러스가 한국에 상륙하면 피해가 어떻게 될지 생각해 봐야 한다"며 "정부부처의 신속한 대처를 위해서는 컨트롤타워와 협의체 구성, 대규모 감염병 발생에 대비한 매뉴얼 개발, 국내 감염병 연구 역량을 집결하기 위한 노력 등이 수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정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정연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