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속 예술기행-신윤복

미인도
미인도
신윤복(申潤福·1758년-?)은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화가이다. 화공 가문 출신으로 본명은 가권(可權) 호는 혜원(蕙園)이다. 조선전기, 학자 신숙주의 후손이고, 일제 강점기의 역사학자 신채호의 8대 조상이다.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고, 도화서 화원으로 높은 벼슬을 지냈다는 사실만 전한다. 색채감각이 돋보이는 산수화 작품을 남기기도 하였지만, 신윤복은 남녀간의 정취와 낭만적인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섬세하고 유려한 필선과 아름다운 채색을 즐겨 사용하여 그의 풍속화들은 매우 세련된 감각과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또한, 당시의 살림과 복식 등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조선 후기의 생활상과 멋을 생생하게 전해준다. 대부분의 작품들에는 짤막한 글과 자신의 낙관을 곁들였지만 모두 그 연대를 기록하지 않아 화풍의 변천을 파악하기 어렵다.

김홍도, 김득신, 장승업과 함께 조선 4대 풍속화가로 불린다. 인물화는 사람의 머리카락 하나까지 세밀하게 그렸다. 그는 중국과 서양 상인을 통해 들어온 안료들을 이용하여 붉은 색, 파란 색, 노란 색 등 그림에 다양한 색채를 사용한 첫 화가 중 한사람이다. 기녀·무속·주점의 색정적 현실 묘사에 치중하고 있다. 이는 유교주의 사회에 대한 예술 면에서의 항의였고, 인간주의의 표방이라는 평가도 있다. 그의 풍속화 중에는 양반 관료들과 여성들의 이중성과 위선을 풍자한 그림도 있다. 그러나 1800년 정조 사후 자유분방한 분위기가 사라지면서 그의 작품활동도 쇠퇴기에 접어든다. 대략 1813년 이후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사망일과 사망장소는 모른다.

미인도(美人圖, 비단에 수묵담채, 45.2㎝×114㎝, 18C)는 옷주름과 노리개를 두 손으로 매만지며 생각에 잠긴 듯한 젊은 미인의 서 있는 모습을 약간 비껴선 위치에서 포착해 그린 것이다. 조선 후기 여인의 아름다운 자태와 순정이 섬세하고 유려한 필선과 고운 색감, 정확한 묘사에 의해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당시의 사치풍조를 대변해주는 큰 트레머리는 맑고 앳된 얼굴과 가냘프게 생긴 목과 어깨를 더욱 단아한 느낌이 들게 하며, 짧은 소매와 좁은 저고리는 부푼 치마폭과 대비효과를 이루면서 당시 여성한복의 유형을 보여준다. 여인은 차갑고 도도하지만, 아름답고 매력적이다. 미인도의 연미색 저고리와 옥색 치마의 은은한 조화, 특히 바탕색과 흑갈색 머리빛, 옷고름과 동정, 반호장(여자 저고리의 끝동, 깃, 고름만을 자줏빛이나 남빛의 헝겊으로 꾸민 저고리)의 자주색과 치마의 담청록색이 자아내는 근접 보색대비는 이 그림의 세련미를 한층 높여준다.

서양에는 중세나 근세의 초상화에 여인들의 초상화가 많다. 반면 우리 민족은 왕가나 사대부 선비들의 집안에서 부인들의 초상화를 남긴 예가 없었다. 간혹 의기(義妓)들의 초상은 있었는데 이런 초상화들도 거의 없어지고 조선 말 채용신이 그린 최홍련의 초상화 한 폭이 겨우 남아있다.

현광덕 미술교육가·조각가·대전세천초 교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