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최철희·최경선 교수 연구팀 적재율 1000배 향상… 제조기술 최적화·임상시험 진행

최철희 교수                    최경선 교수
최철희 교수                    최경선 교수
KAIST은 9일 바이오및뇌공학과 최철희·최경선 교수 공동 연구팀이 빛을 이용해 치료용 단백질을 체내로 정확하고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체내 세포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나노입자인 엑소솜(세포외소낭)과 단백질 약물이 빛을 받으면 자석처럼 서로 결합하는 기술로 우수한 기능과 안전성이 확보됐다는 데 의미가 높다.

최근 바이오 신약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바이오 신약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백질 의약을 신체 내 표적 세포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약물전달시스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새로운 물리, 화학 및 광학적 특성을 갖는 나노소재의 입자를 이용해 단백질 등의 바이오 신약을 전달하려는 시도들이 늘고 있다. 나노입자는 특성 상 종양으로 더 많은 양이 침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기술은 표적 세포에 이르기까지 생체 단백질 활성을 유지시키기 어렵고 면역 반응의 발생을 억제시켜야 하는 문제 등의 한계가 있다. 또 치료용 단백질은 크기가 매우 커 기존 방법으로는 실용화가 어려운 데다 독성 발생 가능성 등 인체 안전성이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된다. 연구팀은 인간의 세포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나노입자인 엑소솜을 단백질 약물의 운송 수단으로 사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여기에 빛을 받으면 서로 결합하는 특징을 갖는 `CRY2`와 `CIBN` 단백질을 이용했다.

엑소솜에는 CIBN을, 단백질 약물에는 CRY2를 각각 융합시킨 뒤 450-490㎚ 파장의 푸른빛을 쏘면 CIBN과 CRY의 결합하는 특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엑소솜에 단백질 약물 탑재가 유도되는 것.

연구팀은 세포 바깥에서 정제된 단백질을 엑소솜에 넣는 기술에 비해 치료용 단백질의 적재율이 1000배 가까이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보다 낮은 비용으로 보다 쉽게 치료용 단백질이 탑재된 엑소솜을 생산하면서 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 치료용 단백질 전달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덧붙였다.

이 기술은 KAIST 교원창업기업인 ㈜셀렉스라이프사이언스 사에 기술이전 돼 엑소솜 약물 제조 기술의 최적화 및 임상 시험을 위한 개발 단계 중이다.

최철희 교수는 "이번 기술은 생체에서 만들어지는 나노입자인 엑소솜에 치료용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탑재시켰다"며 "안전하고 기능이 우수한 단백질 약물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획기적인 원천기술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itons)` 7월 22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김정원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엑소솜 내부에 치료용 단백질이 함유된 것을 묘사한 개념도.  사진=KAIST 제공
엑소솜 내부에 치료용 단백질이 함유된 것을 묘사한 개념도. 사진=KAIST 제공
엑소솜 내부에 치료용 단백질이 함유된 것을 묘사한 개념도.  사진=KAIST 제공
엑소솜 내부에 치료용 단백질이 함유된 것을 묘사한 개념도. 사진=KAIST 제공

김정원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