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복구 전용' 국정자원 공주데이터센터, 추진만 18년째

2025-09-29     김지선 기자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이 오가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재해·재난 등 비상사태 발생 시를 대비해 충남 공주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제4센터로 '재해복구 전용 데이터센터' 개청을 추진해왔지만, 18년째 문도 열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국회예산정책처의 2024년 회계연도 결산(행정안전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국정자원 공주센터 신축사업이 장기간 지연되고 있다.

공주센터는 대전·광주·대구에 이은 네 번째 국정자원 센터로 기존 데이터센터와 달리 화생방, 내진, 전자기파(EMP) 차폐 등의 특수시설을 갖추고 있다. 대전과 광주센터가 동시에 비상사태로 인해 기능이 마비되더라도, 행정업무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중요 전산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시설이다.

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마비된 가운데, 데이터를 이중화 방식으로 백업해 가동하는 공주센터가 문을 열었다면 피해 규모가 이처럼 크지 않았을 거란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공주 센터는 정보보호 분야 제도 강화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2008년 마련된 '정보보호 중기종합계획'에 근거해 추진됐다.

당초 2012년까지 센터 구축을 완료하고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었으나, 타당성 재조사 2회, 사업자 선정 유찰 7회, 입찰방식 변경 등으로 2019년이 돼서야 착공됐다. 이후 공사비 증액,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감리비 부족 등으로 공사 중단을 거치며 2023년 5월 센터 건물 신축공사가 완료됐다. 정부는 이듬해 11월 센터 문을 열 계획이었으나, 2023년 11월 정부 행정 전산망 장애 사태가 발생하자 공주센터에 '액티브-액티브 재난복구(Disaster Recovery·DR)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계획을 수정, 센터 개청일은 또다시 연기됐다.

액티브-액티브 재난복구 시스템이란 두 개의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운영되는 구조로,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쪽에서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다.

공주센터는 다음 달 10일 개청을 예정했지만, 이마저도 불투명하다. 액티브-액티브 DR 시스템이 사업 지연으로 예산액 집행도 늦어지며 올 5월 말 기준 공정률 66.9%에 불과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