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 호우에 매년 물난리 반복… 피해 줄일 대책은?

매년 도로 침수·하천 범람·산사태 등 잇따라 하천 예초·도로 배수구 관리 등 예산 확대해야 '산사태 위험' 산불피해지역 관리·노약자 대피 집중

2025-07-17     정인선 기자
17일 충남 서산시 석림동 청지천 인근 농경지와 도로가 침수돼 소방당국이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정관희 기자.

매년 극한 호우로 인명·재산 피해가 되풀이되면서, 산사태 취약지 관리나 하천 예초·준설, 노약자 대피 체계 확립 등 피해를 최소화할 여러 대책이 요구된다.

극한 호우가 발생할 때마다 도로와 주택이 침수되거나, 산사태가 나는 등 매년 유사한 사건사고가 잇따르는 만큼, 자연재해가 인재(人災)로 번지지 않도록 만반의 준비 태세를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문가들은 호우 피해 대부분이 도로 침수나 하천 범람, 산사태로 이어지는 것을 감안해, 관련 대응 예산을 확대하고 컨트롤타워 구축에 더 신경 써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손민우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는 "준설 등을 포함한 방제 대책에 대해 항시 면밀히 검토하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며 "특히 물이 잘 흘러갈 수 있도록 하천 예초 작업이 중요한 데, 준설이나 예초 등은 대부분 예산 문제로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방제나 하천 생태 문제는 서로 상충하는 면이 있지만, 식생 관리를 잘 하지 않으면 물 흐름을 막는 위험 수목이 늘면서 하천 범람이나 도로 홍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하천변 수목과 임목 폐기물을 사전에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남 서산과 당진 등에서 발생한 도로 침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하수구나 배수구 상태를 꼼꼼히 점검하는 등 철저한 대비도 요구된다.

채진 목원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도시 침수 문제는 주로 배수구 관리가 잘 이뤄지지 않아서 발생한다"며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배수구 관련 예산을 확대하는 등 관리에 더욱 신경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후 변화에 따른 대형 산불 증가가 산사태 위험을 높이는 것과 관련해, 산림청을 주축으로 한 대응·대비 태세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동은 대전보건대 재난소방·건설안전과 교수는 "집중 호우 시, 산사태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신고 체계나 재난 알림, 대책 등을 통합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피해를 방지할 경각심 고취도 요구된다.

김동은 교수는 "어르신들은 재난상황을 미리 예고해도, 즉각 대피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자녀 등 가족들에게도 미리 재난 상황을 안내하는 알림 체계를 만드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채진 교수는 "비가 많이 오는 상황에서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차를 빼다 사고를 당하는 건 물론, 논에 물꼬를 트러 가거나 항구에 있는 배를 결박하려다 사고를 당하는 사례도 많다"며 "시민들이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안전 수칙 등을 적극 홍보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