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광장] '장미대선, 국민의 현명한 선택은

8년만에 탄핵으로 조기대선…국론 분열 심각 이념과 분열 넘어 국민통합 이끌 대통령 필요 세종 대통령 집무실 이전 등 행정수도 완성을

2025-04-11     박명규 기자
박명규 서울취재본부장

헌법재판소가 지난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하면서 6월 3일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지난 2017년 헌재에 의해 파면된 8년만에 또 다시 조기대선을 실시하는 슬픈 역사를 기록하게 됐다.

윤 전 대통령 탄핵안 국회 통과부터 헌재의 파면 결정까지, 그리고 대선과정에서 진영·세대·지역간 갈등은 깊게 파일 것 같다.

지난 24년 12월 14일, 국민의힘은 '표결 참여·탄핵 반대'를 당론으로 정하고 표결에 참석했지만, 윤 전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현직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안 가결은 2004년 3월 12일 노무현 전 대통령, 2016년 12월 9일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번이 세 번째다.

윤 전 대통령의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하자 대한민국은 '탄핵 찬반'으로 쪼개져 평일은 물론 주말마다 서울 광화문 광장과 헌재 인근에서 집회가 열렸다.

대학가도 탄핵 찬반으로 나눠 집회가 열렸고, 종교계도 둘로 갈라져 다른 주장들을 했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후인 지난 5일 서울 도심에서는 헌재의 결정을 환영하는 집회와 반대하는 집회가 열리는 등 후유증은 쉽사리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둘로 갈라진 국론을 통합하는 숙제는 다음 대통령의 몫으로 남게 됐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조기대선 일정에 맞춰 당내 경선을 통해 대선 후보를 선출하고 오는 5월 15일부터 선거일정에 돌입하게 된다.

민주당의 유력 대권 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는 10일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며 영상을 통해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선언했다.

국민의힘도 김문수 전 장관과 한동훈 전 대표, 안철수 의원, 나경원 의원 등이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대선열기도 점차 뜨거워지고 있다.

대선후보들은 자신이 대한민국을 이끌 적임자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누구를 선택할지는 국민들의 손에 달려 있다.

이번 탄핵심판 과정에서 국민들이 가장 절실히 깨달은 것은 헌법 제1조인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근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이다.

국민들이 대한민국의 주인이고, 최대 권력자임을 증명하게 됐지만, 현명한 선택과 결정을 해야 한다는 의무감도 있음을 체험하게 됐다.

국민들이 두 번의 대통령 탄핵과정을 겪으며 극심한 정치불안과 분열, 혼란을 경험한 만큼 다음 대통령 선거에서는 올바른 주권 행사가 필요하다.

현직 대통령 파면이란 위기 상황에서 취임하는 21대 대통령은 인수위원회 활동도 없이 선거 다음날인 6월4일부터 임기를 시작한다.

새롭게 취임하는 대통령과 새 정부는 국민들의 기대와 요구를 충족시켜줘야 하고, 협치의 정치를 이끌어내야 한다.

충청인들도 제21대 대통령과 정부에 많은 기대감을 갖고 있다.

충청권도 지역별로 현안과 관련된 요구들도 많지만, 무엇보다 우선되야 할 것은 국회 세종의사당 이전과 대통령 제2 집무실 준공이다.

충청인들과 정치권 일각에서는 대통령 제2 집무실을 확대해 대통령 집무실로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차기 대통령 집무실로 청와대와 용산, 세종이 거론되고 있지만 각기 장단점이 있어 대권 주자들이 어떤 공약을 할지도 관심이다.

세종 제2집무실을 대통령 집무실 사용에는 헌재가 지난 2004년 '대한민국 수도는 서울'이라는 관습 헌법을 내세워 신행정수도의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을 위헌으로 판단해 쉽지만은 않다.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헌법 개정에 대통령 집무실 이전도 포함시켜 세종시를 실질적인 행정수도로 건설해야 한다.

각 후보들의 충청권의 요구를 대선 공약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지역 정치권도 힘을 모아야 할 뿐만 아니라 캐스팅 보트를 쥔 충청권 유권자들이 단합된 의지를 보여줄 때다.

주권자인 국민들은 경선과정부터 대선 후보들의 철저한 검증을 통해 누가 대한민국을 새롭게 이끌 지도자인지에 대해 현명한 선택을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