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선고 D-1'… 與 "기각" 野 "파면" 막판 여론전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정치권에서도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여야는 '탄핵 기각·각하'와 '탄핵 인용'을 각각 촉구하면서 막판 여론전에 나섰다.
국민의힘은 헌재가 윤 대통령 탄핵을 기각 또는 각하를,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에선 헌재가 재판관 8명의 만장일치로 인용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결과에 승복하겠다면서도 민주당을 겨냥해 승복할 것을 촉구했다. 또 전날부터 헌재와 가까운 안국역 부근에서 밤샘 릴레이 시위를 이어가며 '윤 대통령 직무 복귀를 확신한다'고 헌재를 향해 기각·각하 결정을 압박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헌재가 공정한 판결을 해야 갈등·혼란이 최소화된다"며 "윤 대통령도 임기에 연연 않겠다고 밝힌 만큼 시대 정신에 맞는 헌법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윤상현 의원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기각·각하를 100% 확신한다"며 "법률가로서 양심이 있는 한 절차적·법리적 문제로 각하 또는 기각을 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은 헌재가 재판관 8명의 만장일치로 윤 대통령을 즉각 파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드디어 내일이면 내란수괴 윤석열은 파면될 것"이라며 "헌법에 따른 결론도, 국민의 명령도 파면"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을 포함한 야당들과 시민단체 비상행동은 이날 오후 '내란수괴 윤석열 8대 0 만장일치 파면 촉구 100만 시민 탄원서'를 헌재에 공동 제출키도 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4일 열리는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에 출석하지 않고, 한남동 관저에서 실시간 생중계되는 탄핵심판을 지켜볼 것으로 전망된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3일 언론공지를 통해 "대통령이 내일 예정된 탄핵심판 선고기일에 출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혼잡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질서 유지와 대통령 경호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전했다.
선고기일에 당사자가 출석해야 할 의무는 없기에, 선고에는 윤 대통령 측 대리인단이 직접 출석할 예정이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선고한다. 헌재가 탄핵소추를 인용하면 윤 대통령은 파면되고, 기각·각하할 경우 즉시 직무에 복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