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지지율 10.4%… 정치권 대타협 여론

'최순실 게이트' 국정마비 현상 여야 협치중요성 부각

2016-11-02     송신용
`최순실 게이트`라는 블랙홀이 정국을 집어삼킨 가운데 국정마비 현상이 이어지면서 난국 타개를 위한 정치권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비선실세 의혹의 철저한 진상 규명을 전제로 국가적 대혼돈 상황을 극복할 여야의 `협치`(協治)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레임덕에 빠져든 가운데 새누리당은 계파 다툼으로, 야권은 차기 대권을 염두에 둔 듯한 정치적 계산으로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순실씨에 대한 검찰 수사 이틀째인 1일 박 대통령 지지도는 한자리수로 주저 않을 처지에 빠졌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가 지난달 31일 전국 휴대전화가입자 1088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10.4%에 그쳤고, 부정평가는 무려 81.2%(무응답 8.4%)에 달했다.

문화일보가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에 의뢰해 지난달 29-30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에게 사태의 수습책을 물은 결과 `박 대통령이 스스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나야 한다(하야)`는 응답이 36.1%나 됐다.

사실상 국민들이 대통령으로 인정하지 않는 수준으로 까지 신뢰가 추락한 것으로 이대로는 직무 수행이 불가능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 스스로 사실을 고백해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규명하되 정치권은 정치권대로 난국을 돌파할 묘수를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태의 책임이 전적으로 박 대통령에게 있는 만큼 청와대는 국내 정치에서 아예 손을 떼고, 여야가 `거국중립내각` 같은 대타협을 이끌어 내 국가적 혼란과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정치권의 대응은 국민들의 눈높이와는 거리가 있다.

새누리당의 경우 고질화된 계파 싸움이 국정농단 사태 이후 더욱 날카로워지면서 지도부 퇴진을 놓고 분당 직전으로 치달는 등 집권여당 다운 자세를 전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야당 역시 이번 사태의 반대급부에 관심있을 뿐 책임있는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해법 중 하나로 떠오른 거국중립내각의 경우 당초 지난달 26일 유력 야권 대권주자인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처음 거론한 데 이어 야권을 중심으로 잇달아 그 필요성을 제안했으나 정작 새누리당 지도부가 박 대통령에게 수용을 촉구한 뒤에는 오락가락하는 양상이다.

여야 모두 정치적 셈법에만 몰두할 뿐 국가적 위기 극복이나 민생에는 관심이 없다는 방증으로 자칫 사태 수습의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원로언론인인 구월환 전 관훈클럽 총무(순천향대 석좌교수)는 "대통령 스스로 진실 규명 의지를 보이고 사과하면서 난국 타개와 관련해선 국회의 결정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은 국가적 위기 상황임을 직시해 대타협을 이루어야 한다"며 "새누리당은 그렇다하더라도 야당은 국정 책임감과 운영 능력을 보여줄 기회로 활용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강조했다. 서울=송신용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