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게이트'에 총리후보 이인제·심대평 물망
청와대·내각 인선쇄신 작업 속도… 이번주 총리 교체 될 듯
2016-11-01 송신용
박근혜 대통령은 `선(先) 청와대 개편-후(後) 개각`이라는 로드맵 아래 전날 청와대 참모진을 개편한 데 이어 금주 중 국무총리를 교체하는 등 추가 개편에 나설 것으로 지난달 31일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또 청와대 비서관 경질에 따른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서실장과 함께 교체된 청와대 참모진의 후임 인선 작업도 빠르면 주중 마무리할 전망이다.
내각 개편의 초점은 거국중립내각이냐, 책임총리제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지도부가 촉구한 거국중립내각에 대해 야권이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고, 헌법에도 근거가 없는 상황을 감안할 때 책임총리를 인선한 뒤 거국중립내각의 취지를 대폭 반영한 인사가 이루어질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 경우 총리 인선 뒤 정치권과의 폭 넓은 협의를 거쳐 장관 인선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최순실 사태`로 대통령의 리더십이 타격을 입은 만큼 국무위원 제청권과 각료해임 건의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책임총리를 임명해 난국 타개에 나서거나 정치색이 엷은 명망가가 새 총리를 맡아야 한다는 데는 별다른 이견이 없다.
이후 박 대통령은 외교와 안보를 챙기고, 총리가 경제와 민생 등 내치를 사실상 전담하는 `이원집정부제` 국정 운영에 나서야 한다는 게 정치권의 주문이다.
책임총리에 무게를 둘 경우 충청권 출신으로는 이인제 전 의원과 심대평 대통령 소속 지방자치발전위원장, 정운찬 전 국무총리 등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이 전 의원은 경기도지사와 노동부 장관을 역임한 데다 최근 여의도 정치와도 거리를 두고 있어 난국 돌파 카드로 꼽힌다.
심 위원장은 정치색이 엷고 4차례의 충남도지사와 청와대 행정수석비서관 등을 지내면서 축적한 정치 및 행정 자산이 남달라 국정 위기관리 능력이 돋보인다는 평가다. 이명박 대통령 때 총리를 지낸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의 이름도 오르내린다.
정치권에서는 새누리당이 우선순위로 추천한 김병준 국민대 교수(노무현 정부 청와대 장책실장)와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전 대표, 민주당 손학규 전 대표 등이 거론되지만 당사자들은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함께 이홍구·고건 전 총리, 진념 전 경제부총리 등 원로와 호남 출신인 김황식 전 총리, 이강국 전 헌법재판소장,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등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이 중 누가 총리가 되든 유일호 부총리 체제의 경제팀 쇄신을 비롯 대대적 인사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총리 등 내각 개편에 앞서 청와대 참모진 인선을 서두르고 있다.
대통령 비서실장과 정책조정수석, 정무수석 등 핵심 보직의 공백을 장기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다.
현재 후보들을 대상으로 의사를 타진 중인 것으로 전해져 금주 중 인선이 매듭지어질 전망이다. 후임 비서실장으로는 이장무 전 서울대 총장과 정갑영 전 연세대 총장, 권영세 전 주중대사 등이 거론되지만 총리 후보 중 낙점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서울=송신용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