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순실 '연설문 개입 파문' 사과로 끝날 일인가

2016-10-26     
'비선 실세' 논란의 중심인 최순실씨에게 공식 연설문 등이 유출됐다는 의혹과 관련, 박근혜 대통령이 어제 대국민 사과를 했다. 박대통령은 "지난 대선 때 연설·홍보 분야에서 개인적 의견이나 소감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또한 "일부 연설문과 홍보물 표현 등에 도움을 받은 적이 있다"면서 "취임 후에도 일정기간 의견을 들었으나 보좌체제가 완비된 이후에는 그만뒀다"고 해명했다. 그동안 최씨의 국정개입 의혹 등 숱한 논란에도 침묵으로 일관했던 박대통령이 처음으로 연설문 관여 의혹이 사실임을 인정한 것이다. 민간인 신분의 최씨가 대통령 연설문과 발언자료를 사전에 받아보고 의견을 개진했다면 그 자체가 국민적인 충격이 아닐 수 없다.

박대통령이 취임 후 대국민 직접 사과를 한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비서실장의 말처럼 '봉건시대에도 있을 수 없는 일'이 사실로 드러났으니 어쩔 수가 없었을 것이다. 그동안 몇 차례 있었던 대국민 사과는 전부 간접사과에 그쳤다. 청와대 대변인 성추행 사건이나 세월호 참사 관련 사과 등은 수석비서관회의나 국무회의를 통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죄송스럽고 마음이 무겁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엔 TV앞에 서서 '사과'라는 용어를 써가며 국민에게 머리를 숙인 것이다. 최씨의 연설문 개입 파문은 국정의 신뢰성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낸 것이다. 그럼에도 사과만 있을 뿐 문책이나 재발방지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

대국민 사과로만 그친다면 '최순실 의혹'은 사라지기 어렵다. 새누리당은 대변인을 통해 사과 성명과 함께 "진상규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승민 의원은 "여러 의혹에 대해, 불법여부가 전혀 설명이 안됐다"며 "국회에서 국정조사를 하고 특별검사를 임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야당도 '상황인식이 전혀 없다' '변명으로만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국민들의 생각도 다를 바 없을 것이다. 특검을 통해 미르나 K스포츠 등 최씨를 둘러싼 의혹을 철저히 규명하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 그래야만 박대통령의 대국민 사과가 진정성을 인정받고 유사사건 재발을 막을 수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