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키, 너무 작아도 너무 커도 걱정

#아들 준기가 또래 아이들보다 조금 작다고 만 생각했던 주부 김모씨. 초등학교 입학식에 참석했다가 걱정거리를 안고 왔다. 아들의 키가 반 아이들 중 가장 작았기 때문. 아빠, 엄마는 그리 작지 않은데, 준기는 왜 이렇게 키가 작은지 걱정된다.

같은 연령, 같은 성별의 아이 100명 중 세 번째 이내로 작거나, 또래 평균보다 10cm 내외로 작은 경우를 '저신장'이라고 한다. 이런 아이들의 대부분은 유전성 저신장이거나 체질성 성장 지연에 해당되지만 일부에서 호르몬 이상이나 골격계 이상 또는 만성 질환이 있어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저신장, 유전적인 원인이 가장 흔해

저신장은 유전적 저신장과 체질성 성장 및 사춘기 지연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먼저 유전적 저신장은 우리나라에서 저신장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부모, 조부모, 친척 등에서 키가 작은 사람이 있고 매년 꾸준히 4cm 이상으로 자라지만 같은 성별, 같은 나이 또래들에 비해 계속 작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골 연령은 실제 만 나이와 비슷하고 사춘기는 정상 아동과 비슷한 시기에 시작하지만 최종 성인 신장이 비교적 작은 경향이 많다.

또한 체질성 성장 및 사춘기 지연에 의한 저신장은 체질적으로 성장이 늦게 나타나는 것으로 신체검사와 성장 속도가 정상이나 골 연령은 만 나이에 비해 2-3년 정도 지연되어 있으며, 사춘기 발달도 다른 아이들보다 2-3년 정도 늦게 시작된다. 그러나 현재의 키는 작지만 최종 성인키는 정상 범위에 도달하게 된다.

◇골연령 검사로 원인 파악해

질환으로 인해 저신장인 경우는 호르몬 이상, 터너 증후군, 자궁 내 성장지연, 만성 질환으로 인한 저신장증, 장질환으로 인한 흡수 장애 등이 있다. 이 경우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골연령 검사와 성장 속도 관찰이 필요하며, 호르몬 검사나 염색체 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성장 호르몬 결핍증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뇌 MRI 촬영과 성장 호르몬 자극 검사를 시행해 진단이 되면 성장 호르몬을 투여하게 된다.

성장 호르몬 치료는 성장판이 닫히기 이전에 시작되어야 하며 최소 6개월 이상, 장기간 투여 받아야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을지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강주형 교수는 "성장 호르몬 치료의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주사 부위 통증, 근육통 및 관절통, 전신 부종, 두통, 피부 발진 등이 있으나 투여를 중지하면 이 같은 증상은 사라진다"며 "백혈병 치료를 받았거나 가족 중 백혈병 환자가 있다면 투여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주부 강 씨도 큰 고민에 빠졌다. 김 씨와는 반대로 4학년 딸아이의 키가 다른 아이들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덩치가 월등히 컸기 때문이다. 중, 고등학생으로 오해하는 사람도 많아 딸이 상처받지 않을까 걱정이다.

이런 경우 검사를 해보면 아이의 나이는 만 11-12세인데 뼈 나이는 13세로 진행된 상태이다. 심한 경우에는 15세까지 진행된 상태도 있어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왜냐하면 뼈 나이가 여자는 13세, 남자는 15세가 되면 성장판이 닫혀 그 이후에는 키의 성장이 거의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를 보통 '성조숙증으로 인한 저신장증'이라고 한다.

◇증가하고 있는 성조숙증

성장에는 우리가 잘 아는 성장 호르몬 외에도 갑상선 호르몬과 성호르몬 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갑상선 호르몬이 2세까지의 뇌의 발육과 성장 호르몬의 분비 촉진에 관여한다면 성호르몬은 사춘기의 급성장에 매우 중요한 호르몬으로 골격 성장과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증대시킨다.

바로 이 성호르몬이 병적으로 일찍 증가하면 키의 증가는 있으나 골격계의 성숙이 지나치게 빨리 진행이 되어 조기 골단융합을 초래한다. 이런 경우 키는 더 이상 자라지 않아 결국 최종 어른 키는 작아지게 된다.

강주형 교수는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를 비롯한 전반적인 생활수준 향상으로 영양과잉이 이루어지고 이 영양과잉이 지방과다로 이어진데다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환경호르몬까지 겹쳐 성조숙증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너무 빨리 성장한다고 좋은 게 아냐

성조숙증은 유방 발달, 고환 크기의 증가, 음모 발달 등의 2차 성징이 여자아이의 경우 8세 이전, 남자아이의 경우 9세 이전에 나타나는 것으로 빠른 뼈 성숙을 가져와 성장판이 조기에 닫히기 때문에 키가 제대로 크지 못하거나 심리적, 정신적 문제도 나타날 가능성이 있어 이 같은 양상을 보일 경우 가능한 빨리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성조숙증은 일반적인 신체검사, 성 성숙 정도평가, 시야 검사, 신경학적 검사와 함께 성호르몬, 성선자극호르몬, 골연령 등을 측정해 진단하는데 약 40% 정도가 완전 성조숙증으로 확진된다. 김효숙 기자 press1218@daejonilbo.com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