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방대 졸업생의 공공기관 취업 채용 비율 30% 이상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나섰다. 지역인재를 우대한다는 방침 아래 공기업·준정부기관에서 일정 비율 이상의 채용을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실효성 여부는 일단 뒤로 미루더라도 지방인재 배려라는 측면에선 반길 일이다. 학벌로 사람을 평가하는 차별적 관행을 없애고 지역균형발전 성과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공기업·준정부기관 42곳의 지역 인재 채용 비율을 2013년 상반기까지 30% 이상으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최근 3년 지역인재 채용 비율이 30%에 근접한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13개 기관은 올 하반기에 목표 비율을 채우도록 주문했다. 여건이 안되는 토지주택공사 등 15개 기관은 내후년까지 30%에 도달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49개 기관의 지역인재 채용비율(평균 13.6%)이 낮았다며 확대를 요구했다.

지난해 상당수 기관이 지방대 출신 채용 가이드라인 30%을 달성했지만 지방대 출신들이 느끼는 취업 체감지수는 낮다. 해당 기관들이 전체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는 이상 지방대 졸업자 일자리가 늘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외견상 지방대 졸업자의 취업률을 높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성과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이다.

대통령이 연초 특별연설에서 “특히 금년 대학 졸업생부터는 좋은 일자리 취업이 크게 늘 것”이라며 대학생 취업을 강조했다. 1월 정부는 공기업과 정부기관이 지방대 졸업생을 일정 비율 이상 채용하는 방안을 내놨다. 총리 주재로 열린 교육개혁협의회에서 지방대 취업률을 2013년까지 60%로 끌어올리기 위해 산학협력 선도대학 50곳을 선정해 집중 육성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5월에는 지방대 출신의 취업확대를 위한 공공 분야의 모집규모 확대와 대기업의 채용문화 개선 등을 발표했다.

지방대 졸업자의 취업난은 위기국면을 넘어섰다. 무엇보다 기업들의 지방대 출신 차별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대부분은 수도권 대학 출신을 우선적으로 뽑고 있다.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노력만으로 지방대 출신 대졸자 취업율을 높이는데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얼마 전 영국 런던의 청년 폭동문제도 실업문제로 누적된 젊은 층의 불만과 분노 등이 폭발해 일어났다. 강 건너 남의 일로만 보이지 않는다. 1만명에 불과한 200여개의 공공기관의 일자리에 지방대생이 들어가봐야 몇명이나 들어가겠는가. 민간 부문의 배려와 노력 없이는 지방대 출신 취업환경이 개선될 리 없는 것이다.

지역인재 배려는 갈수록 벌어지는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를 해소하는 길도 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 못지 않게 수도권과 지방의 경제적 차이도 심각하고 취업전선에도 엄청난 갭이 존재하고 있다. 지방대생의 취업난은 궁극적으로 대학과 인재의 수도권 집중을 더욱 심화시켜 국가균형발전을 가로막는 결정적 악재가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