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소속인 허남식 부산시장, 박맹우 울산시장과 무소속인 김두관 경남지사는 경력과 정치적 이념 면에서 매우 상이하다. 허 시장과 박 시장은 정통 관료 출신으로, 관록의 3선 광역 자치단체장이다. 김 지사는 농민운동가 출신으로 광역단체장은 초선이다. 허 시장과 박 시장이 보수 정치인인 반면 김 지사는 손꼽히는 진보 인사다.

이들의 정책적 지향점은 같은 듯 다르다. 허 시장은 ‘큰 부산’이 모토다. 부산 경제 중흥을 표방한다. 박 시장은 기업 사랑에 방점을 둔다. 세계적인 경제도시, 친환경 도시 건설에 주력한다. 김 지사는 ‘그린 경제’와 ‘보편적 복지’가 키워드다. 서민생활 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도정의 중심에 둔다.

가치관과 지향점이 서로 다른 이들에겐 공통 관심사가 있다. ‘동남권 광역경제권’ 구축은 당적과 이념을 초월한 공동 의제다. 부산·울산·경남을 일컫는 ‘부울경’은 광역경제권을 선도하는 브랜드도 자리 잡고 있다. 수도권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단일 경제권 구축이 목표다. 2020년이면 인구 800만의 거대 경제권이 탄생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부푼다.

충청권은 국내총생산의 11.4%, 전국 인구 대비 10.1%를 차지한다. 지속적인 성장세가 유지되고 있지만 타 권역에 비해 경제·산업부문에서의 경쟁력이 미약하다는 진단이 늘 나오곤 한다. 이 때문인지 소통과 신뢰에 기반한 경제적 제휴와 협력이 필요한다는데 반론은 없다.

광역경제권은 역사문화적 동질성을 토대로, 정치·경제적 제휴를 강화해 한 권역의 글로별 경쟁력을 높이는 게 목표다. 충청권은 백제문화와 유교문화 등 역사문화적 유대감이 끈끈하다. 타 권역에 비해 광역경제권의 공통 관심사도 뚜렷하다. 세종시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충청 광역경제권의 핵심 의제다. 대전·충남북간 산업의 상호 연계성도 매우 높다.

광역경제권의 본질적 목표는 권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다. 광역경제권 구축의 수혜는 고스란히 해당지역의 주민들에게 고루 돌아갈 것이다. 각 시·도지사가 힘을 쏟아야 하는 이유다. 그러자면 상생 모델 정립과 견고한 협력 체계가 우선이다. 정치적 이해 관계에 휘둘리거나 소지역주의에 집착하는 구태는 금물이다. 민선 4기 초반, 박성효 대전시장과 이완구 충남지사, 정우택 충북지사는 충청 광역경제권의 필요성에 한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선언’ 이상의 진도를 내진 못했다.

요즘 충청 광역경제권 구축 논의가 활발하다. 지역민들의 소구도 어느 때보다 높다. 같은 듯 다른 행보를 걷고 있는 염홍철 대전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가 같은 길을 갈까, 다른 길을 갈까. 민선 5기 관전의 한 가지 포인트다.

이용 경제부장 yong6213@daejonilbo.com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