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박물관 ‘임진자’서 발견…금속활자 복원연구 촉진 기대

밀랍주조법으로 제작된 금속활자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주물사’(鑄物砂) 주조법이 아닌 ‘밀랍’ 주조법으로 제작된 금속활자를 조선시대의 금속활자인 ‘임진자’에서 발견했다고 9일 밝혔다.

임진자는 갑인자(甲寅字)의 글자체로 임진년(壬辰年)인 1772년(영조 48) 주조한 활자이며, 글자체가 왕희지가 글씨를 배운 진(晉)나라 위부인의 글씨체를 닮아 위부인자(衛夫人字)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밀랍 주조법’은 밀랍으로 만든 글자에 진흙을 발라 틀을 만든 뒤 열로 밀랍을 녹이고 틀에 금속을 부어 만드는 방식으로 그동안 금속활자 주조법으로 알려진 주물사 주조법보다 복잡한 모양의 활자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세계 최고(最古) 금속활자본인 ‘직지심경’을 찍어낸 활자도 밀랍 주조법으로 만든 것으로 알려졌으나 문헌에는 그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박물관은 “이번 발견은 금속활자의 형상과 주조 결함의 상관관계를 통해 금속활자의 주조법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금속활자를 제작방법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게 돼 금속활자의 복원사업 등 연관 분야의 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효숙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