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환경 복원·역사문화권 재조명 필수

정부의 금강살리기를 앞두고 금강권역 자치단체와 학계 및 시민사회단체, 주민들의 뜨거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더불어 바람직한 추진 방향에 대한 논의와 의견 제시 등도 봇물을 이루고 있다. 지난 달 12일 대전일보사와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공동 주최한 ‘금강살리기 대토론회’에서도 이같은 관심이 반영됐다. 이날 토론회의 주제 발표 및 토론 내용을 중심으로 금강살리기의 과제를 진단한다.<편집자 주>

◇역사문화권 재조명=전문가들은 충청 금강문화권의 문화와 예술, 역사를 재조명하는 창조적 재발전 전략이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금강 살리기가 단순한 토목공사나 대운하 개발이 아니라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자연생태환경 복원과 역사문화권 재조명이라는 양대 축을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금강 살리기를 기념하는 기념관과 전시공간으로서의 금강문화관, 문화재 발굴조사 과정에서 발견되는 유적·유물을 보존관리 할 수 있는 유적공원 조성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금강권역 성장동력 확보=지역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컨셉이 확보대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획일적인 하천정비 사업이 아닌 지자체별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지역균형 발전을 꾀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논거다. 여기에는 ‘금강 신생활권 형성’을 위한 지역발전 사업이나 ‘신(新) 금강관광벨트 조성’을 위한 사업, ‘원경관을 찾아가는 금강’ 사업들이 녹아들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지자체간 사업 유치를 위한 과열 경쟁은 지양돼야 한다는 시각도 나온다.

◇환경친화적 하천 정비=기존 하천복원 사업은 산업화를 통해 수많은 복개사업의 추진과 곳곳에 댐이 설치되면서 상류부터 하구둑에 이르기까지 개울과 강을 가로지르는 많은 구조물이 형성돼 왔다. 이 때문에 강으로 돌아오는 소하성 어류를 소멸시켜 생태단절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의 경험을 고려해 금강 살리기는 친환경적 하천 정비로 생태 환경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진행돼야 한다는 요구가 높다. 이와 함께 ‘녹색 댐’을 통해 하천의 유량 증가와 하천주변 경관 조성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숲 가꾸기가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주민 참여형 정책 수립=사업의 최대 수혜자 및 이용자라고 볼 수 있는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정책의 입안 및 계획의 수립단계에서부터 유도해 주민 참여형 정책이 완성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지자체와 민간기업, 주민이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참여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향토기업의 참여 보장=사업의 파급효과를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공사 단계에서부터 지역 업체의 참여를 의무화시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등이 제공되도록 추진돼야 한다는 요구가 높다. 금강 살리기 사업에 지역 향토기업의 참여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경제 살리기 및 일자리 창출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이다. <한종구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