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건축박물관-숭례문 축소모형 전시 유명세
고건축박물관-숭례문 축소모형 전시 유명세
조선후기 실학자인 이중환은 자신이 쓴 택리지에서 충남에서는 ‘내포’(內浦)지방이 가장 살기 좋다고 썼다. 내포란 육지 속으로 파고든 포구란 뜻으로 충남 서해안의 홍성, 예산, 당진 등을 뜻한다. 이 가운데 금북정맥 산줄기가 동, 서, 남쪽을 U자로 감싸고 뻗어 있어 넓은 분지에 자리잡은 예산은 내포지방의 여느 고을처럼 비산비야(非山非野·산도 아니고 들도 아닌 땅)의 들판이 펼쳐져 있다. 물 좋고 산 좋은 예(禮)의 고장 예산에는 우리 전통이 살아 숨쉰다. 추사고택, 수덕사와 수덕여관, 충의사, 한국고건축박물관 등에 깃들어 있는 조상의 지혜를 찾아가 보자.

풍수가들이 ‘문자의 향기(文字香)와 서권의 기운(書卷氣)이 감도는 명당’이라고 치켜세운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의 추사고택은 초선 후기 탁월한 서예가이자 실학자인 추사 김정희(金正喜·1786-1856)의 옛집이다.

추사 선생은 학문에서 실사구시를 주장했고 서예에서는 독특한 추사체를 대성시켜 새로운 경지를 이룩했으며 서화를 통해 예술의 정수를 이끌어냈다. 당대 최고의 금석학자이자 불교에도 조예가 깊은 추사의 흔적은 이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다.

추사 집안은 16세기 중반부터 가야산 서쪽 해미 서산시 음암면 대교리에 터를 잡은 명문가로 추사의 증조부인 월성위 김한신(金漢藎·1720-1758)이 이곳으로 옮겨왔다.

월성위가 이 고택을 지을 때 충청도의 53군현이 모두 1칸씩 부조해 53칸짜리 집을 지었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로 명문가였다. 원래는 정적들이 영조에게 한양 장동에 있던 월성위의 집이 너무 크다고 상소하자 이 집을 뜯어다가 건립한 것이라고 한다.

현재 추사고택은 80.5평으로 안채, 사랑채, 문간채, 사당채가 있을 뿐이다. 당시의 웅장함은 물론 명문가의 저택이라 할 수 없을 정도로 협소하다.

1976년 복원할 때 사랑채와 안채가 붙어버린 왜곡된 형태로 지었기 때문이지만 고택으로서의 풍미는 간직하고 있다. 안채의 넓은 대청이 시원하고 뒤쪽으로 돌아가면 사당으로 통하는 돌층계와 대밭의 풍경이 아름답다. 고택 옆에는 김한신과 증조모 화순옹주의 합장 묘가 있고 그 곁에는 화순옹주의 열녀문이 서 있다.

무엇보다 추사고택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주련(柱聯·기둥이나 벽에 장식으로 써서 붙이는 글귀). 서예의 대가 집답게 대문 옆, 현관 앞, 기둥, 바람벽 등 곳곳에 주련이 걸려 있다. 추사고택에서 천천히 주련만 음미해도 문자향과 서권기에 취할 수 있다.

주련 아래에는 각 글귀를 번역해 놓은 설명문이 붙어 있어 한문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도 의미를 알 수 있다.

추사고택에서 300m쯤 떨어진 곳에 있는 백송(천연기념물 제106호)은 추사 선생이 심은 나무다. 1809년 부친 김노경을 따라 중국 청나라 연경에 갔다가 돌아올 때 종자를 필통에 넣어와 고조부 묘 옆에 심은 것이라고 전해진다.

우람하지는 않지만 흰빛의 나무둥치와 호리호리하게 뻗은 가지가 선비와 같은 풍모를 보여준다.

고택의 정취와 마을을 깨끗하게 해주는 주련을 충분히 감상했다면 덕이 넘치는 수덕사를 찾아보자.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덕숭산에 자리한 수덕사는 산 이름(德崇)과 절 이름(修德), 동네 이름(德山)을 더해 3덕이 모여 있다. 수덕사에는 덕이 넘친다.

이곳에 들르면 기품 있는 대웅전에 곧바로 압도된다. 1308년 세워진 대웅전은 700년이 지난 고건축물이다. 국내에서 견줄 만한 오래된 건축물로는 안동의 봉정사 극락보전과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 두 곳밖에 없다.

수덕사 대웅전은 고건축 전문가들이 절제미와 비례미가 돋보이는 최고의 작품이라고 평가한다. 아무런 장식이 없는데도 세련되고 아름답다. 대웅전 왼쪽의 산길은 정혜사로 이어진다. 적당한 긴장감을 주는 1080개의 돌계단이 있으며 중간쯤 오르면 만공 선사가 참선했다는 소림초당이 나온다.

7.5m의 거대한 관음불 입상을 지나면 스님들의 참선도량인 정혜사가 반긴다. 넓은 앞마당에 서면 수덕사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고 그 너머 멀리 해미 읍내도 들어온다. 수덕사에서 정혜사까지는 왕복 2시간이면 가능하다.

수덕사 일주문 아래의 초가를 얹은 수덕여관은 우리 미술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린 고암 이응로(1904-1989) 화백의 사적지이다. 고암은 이 여관을 구입한 1944년부터 프랑스로 건너가기 전인 1959년까지 이곳에 머물면서 작품 활동을 했다. 수덕여관 앞의 바위조각은 1969년 동백림 사건으로 귀국했을 때 삼라만상의 성함과 쇠함을 추상화해 표현한 작품이다.

수덕사를 벗어나 덕산온천 쪽으로 가다보면 매현 윤봉길 의사(1908-1932)를 모신 충의사가 있다. 1930년 ‘장부출가 생불환(丈夫出家 生不還)’이란 비장한 유서를 남기고 망명길에 오른 매헌은 1932년 4월 29일, 일왕의 생일 기념식이 있었던 중국 상하이 홍구공원에서 폭탄을 던져 일본 상하이파견군 대장 등을 제거한 독립운동가.

사적 제227호로 지정된 충의사에는 매헌의 영정이 봉안돼 있고, 의거 기념일인 매년 4월 29일에 차례를 지낸다.

충의사 건너편에는 사적 제229호로 지정된 저한당과 생가인 광현당, 부흥원, 유물관 등이 있다.

수덕사에서 홍성 방면으로 가다보면 전국에 산재 있는 국보와 보물, 고건축 문화재를 실제 크기의 10분의 1, 5분의 1로 축소 제작해 놓은 한국고건축박물관이 있다. 얼마전 소실된 숭례문의 모형도 이곳에 전시돼 있다가 숭례문 원형 복원에 필요하다는 요청으로 문화재청으로 옮겨졌다.

주요 축소 모형으로는 강릉객사문, 송광사 국사전, 부석사 무량수전, 봉정사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광룡사 약사전, 정전태실, 중화전 등이 있다. 우리 나라의 웬만한 문화재는 모두 모여 있는 셈이다.

중요 시설로는 사대부 가옥, 평민 가옥, 초가삼간, 연수원, 중국관, 일본관, 야외 공연장 등이 있어 다양한 고건축물을 감상할 수 있다.

<송영훈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수덕사-절제·비례美 돋보이는 최고 사찰
수덕사-절제·비례美 돋보이는 최고 사찰
추사고택-고즈넉한 풍경에 시간이 멈춘듯
추사고택-고즈넉한 풍경에 시간이 멈춘듯

송영훈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