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인 칼럼

여성 취업활성화를 위한 지원기관의 역할

중소기업은 고질적인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성인력 활성화’에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 또 여성취업을 위한 취업 지원기관의 역할 증대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이 필요한 이유는 여성인력의 적극적인 경제활동 참여 없이는 국민소득 4만불의 선진국 시대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국민소득 4만불 시대를 조기에 견인할 수 있는 전제조건이라는 것이다.

또한 생산 가능인구 증가율이 둔화되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잠재된 여성인력의 활성화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다. 빈곤층 중 여성노인 및 여성가구주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빈곤의 여성화’ 방지를 위해서도 여성인력 활용을 통한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경제사회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여성들의 취업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미혼뿐 아니라 기혼 여성들도 가사에만 전념하기보다는 자신의 경제활동 참여에 대한 인식이 점점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민간의 지원기관 활용능력 결여로 인해 구직 여건은 매우 열악하다. 직업훈련 기회 부족이나 구인정보 획득 곤란, 육아와 가사 문제 등 구직에 대한 여러 가지 애로사항이 우리나라 여성들의 인식변화만큼 따라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원기관 이용 경험 부족, 지속적인 정보 부재, 이용 절차 및 방법 불편 등 지원기관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그 불만 역시 터져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여성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지원기관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첫째, 직업훈련을 통한 취업 연계통로가 있어야 한다. 출산, 육아, 가사 등 개인적인 사유로 인한 부족한 능력을 보완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직업훈련과 취업직종의 괴리를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직업훈련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업에서 필요한 주문형 교육과 개인의 능력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의 접목이 검토되어야 한다.

둘째, 지원기관에 대한 재정지원이 대폭 확대되어야 한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시설 확충 및 상담원 처우 개선이 필수적이다. 또한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구직자의 심리적인 안정과 시간 절약을 위한 ‘찾아가는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서도 재정지원의 확대는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셋째, ‘여성인력개발센터’ 역할이 정립되어야 한다. 여성인력개발센터는 지역사회 여성인력에 대한 직업능력개발, 인력양성 및 공급을 주도하고, 복지관, 문화회관 등과 차별화되는 고급화된 전문 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아울러 여성인력개발센터뿐만 아니라 공공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여성의 적극적인 접근 편리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직업상담의 체계 확립’에 노력하여야 한다. 상담, 교육에 있어 개인의 성향과 능력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담실의 개방시간 확대 및 실시간 온라인 상담 시스템의 구축뿐만 아니라 이직, 전직(예비)자를 위한 전직지원서비스제도의 운영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성취업 지원기관의 양적인 확대와 운영보다는 변화와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하고 양질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여성인력 활성화와 중소기업 인력난 완화의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일조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운형<중소기업중앙회 대전충남지역본부장>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