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문화재인 충남도청사는 보존 상태나 건축미, 건립 연대로 봐서 대전의 대표 건축물로 손색이 없다. <賓雲龍기자>
등록문화재인 충남도청사는 보존 상태나 건축미, 건립 연대로 봐서 대전의 대표 건축물로 손색이 없다. <賓雲龍기자>
대전의 근·현대건축물은 100년의 연륜을 갖고 있다. 충남도청사는 보존 상태나 건축미, 건립 연대로 봐서 대전의 대표 건축물로 손색이 없다. 오는 2012년 도청이전에 따른 도청사 보존 문제가 새삼 불거지면서 대전의 근대문화유산 보존 실태를 점검하고 대안을 찾아본다.

충남도청의 홍성·예산 이전 후 도청부지 활용방안은 어떤 논리로 접근하느냐에 따라 해결책이 달라지게 된다. 시민들 대다수가 문화공간 조성을 희망하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원도심 활성화 등 경제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도청사 활용문제를 놓고 대전시와 충남도의 의견이 서로 다른 것도 문제다. 대전시는 박물관을 포함한 문화·예술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충남도의 공식 입장은 매각이다.

이에따라 우선 도청부지 활용에 대한 지역 시민사회의 입장을 정리하고 대전시와 충남도가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해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문화공간이냐 원도심활성화냐=시민들 사이에는 도청부지를 시민들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꾸며야 한다는 주장과 원도심활성화를 위해 과감히 도청사를 철거해야 한다는 주장이 상존하고 있다.

물론 대전발전연구원 설문조사 결과 박물관 등 문화활동공간이나 시민공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대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교수, 연구원 등 전문가들의 의견도 문화예술기능에 무게를 두고 있다.

대전대 이달훈 교수(건축공학과)는 “충남도청사는 등록문화재로 등록돼 있기 때문에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면서 “건물의 가치를 살리면서 주변을 공원화해 시민들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수 의견이지만 도시형 산업을 위한 비즈니스센터나 대형 유통점이 들어와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주거, 교육, 국제기능을 하는 곳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찮다. 가뜩이나 침체된 원도심을 살리기 위해서는 시민들을 집객할 수 있는 시설로 바꿔야 한다는 논리다.

전국상인연합회 송행선 회장은 “도청 이전부지를 박물관이나 공원으로 활용하면 원도심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며 “웨딩 세트장 등 다른 시·도에 없는 시설을 설치해 고객들을 유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이같은 의견을 반영해 도청이전 후 원도심의 경기가 더 침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원도심내 주차장 부지를 더욱 확보하고 콜센터 유치 등 유동인구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충남도 이해상충=대전시와 충남도는 아직 한번도 도청이전 부지활용에 대해 공식적으로 논의한 적이 없다. 양측의 의견을 들어 볼때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결책이 없는 것도 아니다.

대전시는 도청부지 활용 첫번째 대안으로 기존 도청건물을 유지하면서 주변을 공원화하는 방안을 들고 나왔지만 정작 땅 주인인 충남도의 입장은 조금 다르다. 도는 도청사를 보존해야 한다는데는 크게 반대하지 않지만 도청이전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도청사와 부지 2만5456㎡(재산평가액 461억원)에 대한 매각 절차를 밟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75년의 연륜을 가진 도청사의 경우 등록문화재로 등록돼 있지만 막상 매각이 되면 완전 보존을 장담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고 대전시가 도청 부지를 사들일 만한 경제적인 여력이 있는 것도 아니다.

결국 대전시와 충남도가 서로 부담을 느끼지 않는 선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 소유의 땅과 도청 부지를 교환하는 방안과 정부에서 도청부지를 매입해 대전시에 양여하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대전시와 충남도가 MOU를 체결하고 공동으로 국비를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도청사 보존에 특별히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만 도청이전 재원이 필요한 것 아니냐”며 “대전시와 충남도가 공조해 공동으로 국비를 따오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말했다.<殷鉉卓·禹世榮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본문인용 등의 행위를 금합니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