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계교 충남취재본부장
박계교 충남취재본부장

개명(改名)은 말 그대로 이름을 바꾸는 것이다. 매스컴에서 연예인이나 운동선수 등이 개명을 했다는 얘기를 종종 들을 수 있다. 유명인들 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도 개명한 이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개명을 하고 나서 일이 더 잘 풀린다는 얘기는 덤이다.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 국민 12만 7855명(남자 4만 915명, 여자 8만 6940명)이 이름을 바꿨다. 최근 몇 년 사이 해마다 10만 건 넘게 개명이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특이한 점은 통계에서 보듯 남자보다 여자가 배 이상으로 개명을 했다. 각자 개인의 사연을 담은 바꾼 이름의 우선 순위를 살펴보니 예전에 많던 이름을 돌이켜볼 때 이름만 놓고 보면 한층 세련 됐다는 느낌이다.

개명을 할 만큼 개인의 이름이 소중한데, 하물며 많은 이들이 찾는 공공장소는 어떨까. 내포신도시가 있는 홍성군과 예산군이 때 아닌 이름 신경전이다. 지난해 서해선 복선전철 삽교역 신설이 확정되면서 역명을 놓고, 양 지자체가 갈등이다. `충남도청` 역명을 서로 써야 한다는 게 요지다. 홍성군은 홍성역에, 예산군은 신설되는 가칭 삽교역에 `충남도청` 역명을 넣어야 한다는 것. 내년 지방선거까지 맞물리면서 양 지자체의 자존심 싸움으로 불거진 양상이다. 보령시와 태안군이 원산도와 안면도를 잇는 연륙교의 이름을 놓고, 양 시군이 극심한 갈등을 빚다 `원산안면대교`로 이름이 정해진 사례가 있는 터라 재연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궁극적으로 역명은 국토부 장관이 제정권을 갖고 있지만 충남도는 홍성군과 예산군 어느 곳도 손을 들어줄 생각이 없다. 양 지자체의 합의가 없는 이상 `충남도청` 역명을 사용하는 데 동의할 수 없음을 충남도는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는 지난해 양 지자체에 보낸 공문에도 명시돼 있다. 필요시 행정절차 등에 따라 적극적인 의견을 개진할 예정이라는 일종의 경고 메시지까지 담았다. 여건 변화가 없는 이상 `충남도청` 역명은 홍성군과 예산군의 동상이몽에 그칠 공산이 크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김춘수의 시 `꽃`이다. 이름은 그런 거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