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로 자영업자들의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는 우울한 소식이다. 한국은행이 어제 발표한 `하반기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올 9월 말 현재 자영업자의 대출 규모는 887조 5000억 원이나 된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 1년 8개월 만에 자영업자의 빚은 무려 140조 원가량 불어났다. 자영업자 대출 규모는 지난 1년 새 14% 증가한 사실로 미뤄 금년 말 900조 원을 넘기고 내년 말에는 1000조 원에 육박할 수도 있다.

자영업자의 1인당 대출금이 비 자영업자의 4배 가까이 된다니 이들이 짊어진 부채의 무게가 얼마나 큰 지 짐작이 간다. 자영업자의 대출 규모도 문제이지만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비은행권 대출이 34.9%나 된다는 사실이 더 심각하다. 상당수 자영업자들은 은행권에서 대출이 막혀 새마을금고, 신협, 지역농협 등 제2 금융권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까지 왔다. 비은행권 대출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자금 압박의 강도가 세지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자영업자들은 앞으로 코로나19 변이와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로 채무 능력이 악화될 소지가 다분하다. 내년 3월 말 대출 만기 연장과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가 만료되면 자금난이 더욱 가중될 수 있다. 자영업 경기가 나쁜 상태에서 시중 금리도 상승하다 보니 현금 유동성이 좋을 리 없다. 만기 도래한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하고 이자를 못 내면 결국 `부실 폭탄`이 터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 자영업자 등 비 임금근로자 비중은 24.6%로 미국(6.3%), 캐나다(8.6%) 독일(9.6%), 일본(10%) 등 다른 선진국에 비해 훨씬 높다. 자영업은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 경제를 지탱하는 큰 축이다. 2019년 기준 소상공인들의 생산유발효과는 1546조 원으로 경제 부문 전체의 35%를 담당하고 있다.

이런 소상공인·자영업자가 점점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고위험 자영업자에 대한 추가적인 대출 만기 연장 등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정치권은 50 조니 100 조니 숫자 노름만 할게 아니라 구체적인 자영업자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