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중심도시로 도약 꿈꾸는 대전]
대전의료원 설립 본격화… 감염병 대응 시민 건강 안전망 확보
지역 장애아동에 종합서비스 제공할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유치

대전시가 지난해 12월 비대면 방식으로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기공식을 개최했다.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지난해 12월 비대면 방식으로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기공식을 개최했다.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지역 내 필수 공공의료체계를 확충을 통해 `건강도시 대전`을 위한 초석을 다지고 있어 관심이다. 대전의료원 설립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국내 최초 중중장애아동 대상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가족안심 시립요양원 건립 등 결실을 통해 보건·의료의 공공기능강화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대전은 2003년 사스부터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2015년 메르스, 2020년 코로나19까지 감염병이 지역사회에 확산됐을 때마다 병상확보 등 어려움을 겪어왔지만, 대전의료원 설립으로 보건소-지방의료원-대학병원으로 이어지는 공공의료체계를 탄탄히 구축하고 시민 건강 안전망 확보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 치매환자 개인의 자율적 일상생활과 사회적 관계 형성을 지원하는 치매전담형 요양원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되는 가족안심 시립요양원 건립도 순항하고 있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역시 지역 장애아동들의 재활치료와 정규교육, 돌봄 등 종합서비스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과제도 적지 않다. 지역 공공보건의료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재정적 대책, 지역 거점병원과의 협업 등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대전의료원 설립 본격화= 대전의료원 설립이 본격화되면서 지역의료 강화 기반이 마련됐다. 대전의료원은 지난해 12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지역의료 지원 강화와 감염병 전담시설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정부 예비타당성 면제 사업으로 선정됐다. 이후 지난 3일 기획재정부의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통과하면서 사업 규모와 예산을 확정, 사업 추진을 위한 행정적 절차가 사실상 마무리됐다. 기재부는 사업 규모를 건물 연면적 3만 3148㎡, 부지면적 3만 9163㎡, 319병상으로 사업계획과 동일하게 산정했으며, 총 사업비는 당초 사업계획 1315억 원 대비 444억 원 증액된 1759억 원으로 확정했다. 대전의료원 사업의 적정성 검토가 완료되고, 심의 과정에서 쟁점이 됐던 국비 추가 확보, 공사비 증액, 토지매입비가 현실화됨에 따라 25년을 끌어온 사업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게 됐다. 시는 2022년도 본예산에 설계비 항목으로 국비 10억 원을 확보했고, 상반기 중 의료·운영체계 용역 발주, 하반기에는 기획설계를 발주하는 등 오는 2024년 착공,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대전의료원을 통해 코로나19 등 국가적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공공의료안전망 기능을 갖춘다는 구상이다. 정신·장애인 등의 지역필수의료 등 미충족 의료서비스 강화, 국가 의료정책 선도로 시민건강권 확보, 양질의 적정 진료를 통한 시민진료비 부담 완화, ICT 등을 활용한 스마트병원 시스템 구축을 통한 공공보건의료 혁신도 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다만, 지난 11일 대전의료원 설립 포럼에서 정부가 인건비를 정액 지원하는 기본예산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도출되면서, 지역 공공보건의료의 중추적 역할 수행을 위한 재정적 지원책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아울러, 다른 종합병원과 비교해 충분치 않은 병상 규모, 포괄적 협력 진료체계 구축을 위한 대학병원 등 지역 거점병원과의 협업 등도 향후 과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유치= 국내 최초 중중장애아동을 위한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으로 지역사회의 건강 안전망을 확보했다. 지난 2018년 복지부 공모 선정으로 대전 서구 관저동에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을 유치했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내년 12월 개원을 목표로 447억 원이 투입된다. 사업비 가운데 100억 원은 2019년 2월 넥슨재단으로부터 기탁받았다. 2022년 12월까지 서구 관저동 시유지 6342㎡에 지하 2층, 지상 5층, 연면적 1만5789㎡에 70병상 규모로 조성되며, 재활치료와 함께 돌봄과 교육이 함께하는 장애아동 맞춤형 시설로 지어진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이 가시화되면서 시는 개원 준비를 위한 기본 운영계획 수립을 추진하고 있다.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당초 지역 유일의 상급종합병원인 충남대병원의 위탁운영에 무게가 실렸지만 시가 직접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재정적인 안정성 마련은 과제다. 개원 원년 운영비와 매년 약 30억의 운영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와 운영비 80% 이상의 국비 지원 요청을 협의한다는 계획이다.

◇가족안심 시립요양원 건립= 대전시가 가족안심 시립요양원 건립 추진을 통해 노인복지의 공공성을 강화시켜나가고 있다. 지난해 3월 가족안심시립요양원 건립 최종 후보지를 지정, 도시계획시설결정 및 실시계획인가 용역을 마쳤다. 또, 지난 5월부터 설계공모를 실시해 ㈜종합건축사사무소 시담이 제출한 `빛과 풍경, 길과 마당으로 완성되는 치유마을`을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가족안심시립요양원은 대전 동구 판암동 산 33-2번지 일원에 지하 1층, 지상 3층(연면적 2867㎡) 규모에 108인 입소가능한 규모로 들어설 계획이다. 총 사업비는 국·시비 등 약 95억 원이며, 내년 착공해 오는 2023년 준공할 예정이다. 시는 치매 전담실 9실을 소규모 생활단위로 공간을 구성하는 `유니트형 공간`으로 조성, 치매환자 개인의 자율적 일상생활과 사회적 관계 형성을 지원하는 구조로 조성할 계획이다. 부대시설로 치유의 숲, 힐링 산책로, 브레인닥터 공간 등을 함께 배치해 가족이 안심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치매전담형 요양원으로 운영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이를 통해 현 정부의 추진 방향인 치매국가책임제와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건립대상지 선정 지연으로 추진 일정이 지연되고, 건축비 등 국비 지원단가가 실단가에 비해 저가 책정되는 등 시립요양원 건립에 따른 어려움도 적지 않다. 시는 행정절차를 조기 이행하고 보건복지부에 건축단가 인상을 건의하는 등 과제 해결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또 대전세종연구원이 제시한 사회서비스원 위탁 운영과 치매전문교육 대상자 범위 확대, 위치상 접근성 저하 개선책 등 방향에 대한 부분도 고려가 필요하다.

◇공공보건의료 기능 강화= 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및 공공요양병원 시설개선으로 보건·의료의 공공기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지역 보건의료 환경을 분석하고 정책을 개발하는 싱크탱크 역할을 할 `대전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이 본격 출범했다. 지역특성에 맞는 보건의료사업 발굴, 필수의료분야 조사·연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공공보건의료 체계를 정립하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해 8월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전문적인 정책적·기술적 지원과 총괄 조정기능을 갖춘 공공보건의료지원단 설치·운영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같은 해 10월 조례를 제정했다. 이후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와 공동 워크숍을 개최하고, 아토피·천식교육정보센터와 `대전형 공공보건의료 거버넌스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꾸준한 활동을 통해 지역 내 공공보건의료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 아울러 중증치매환자에 대한 체계적 의료지원을 위해 대전시립제1노인병원에 치매전문병동 확충 등 기능보강을 추진, 관내 치매환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는 물론 수준 높은 치매관리 서비스 제공에 나서며 `건강도시 대전`으로 성장해나가고 있다.진나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대전시가 지난달 대전의료원 설립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지난달 대전의료원 설립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립요양원 투시도.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립요양원 투시도.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지난해 12월 비대면 방식으로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기공식을 개최했다.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지난해 12월 비대면 방식으로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기공식을 개최했다. 사진=대전시 제공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