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구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위암협진팀 교수
김정구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위암협진팀 교수
암이라는 글자에 모든 것이 들어있다.

암이라는 말의 근원에 대해서는 거의 모든 전문가들의 의견이 모아진다. 기원전 그리스에서 암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면 카르시노스(karcinos)라고 기술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라틴어로는 캔크럼(cancrum)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암을 지칭하는 영어인 캔서(cancer)의 기원이 되었다. `게`라는 뜻이다. 여성의 유방에 생긴 암을 게로 묘사했다고 하는데, 딱딱한 덩어리가 꽉 달라붙어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암은 자신의 범위를 넘어서서 주변에 뿌리를 깊게 내리는 특징(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침윤` 혹은 `침습`이라고 한다)을 묘사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 한자의 암(癌)은 `병`이라는 글자에 `바위` 자가 더해진 말이다. 즉 바위같이 단단한 덩어리를 만드는 병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동서와 고금을 막론하고 이렇듯 암이라는 글자에 암의 중요한 특징이 들어있다고 할 수 있다. 덩어리를 만들어 단단하고 깊게 자리 잡는 속성이 있다는 말이다. 바위를 잘라 내거나 딱 달라붙은 게를 떼어내는 것이 쉽지는 않을 일이다. 간혹 암 치료를 하는 의사단체를 표현하는 휘장을 보면 `게`에 `칼`이 꽂혀 있는 그림을 볼 수 있다. 다 이런 연유다.

암적인 존재라는 말이 있다.

암이라는 말이 얼마나 절망적이었는지를 알 수 있는 표현이다. 이제 암은 병 자체를 넘어서며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존재가 되었다. 물론 사람들이 이 표현을 쓰는 경우는 암환자와 관련된 상황에서 쓰는 경우는 대부분 없다. 흉악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 혹은 고질적인 사회 문제를 비유할 때 많이 쓰는 단어다. `암적인 존재`라는 표현이 암수술을 하는 의료인의 입장에서는 별로 반갑지는 않다. 쉽게 고칠 수 없는 절대 악의 개념 혹은 공존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일단 부정적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암이라는 병이 불치병의 대명사로 치부되던 시절에 생겨난 말인 것 같다. 하지만 현재의 의료수준에서 모든 암을 불치의 병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암의 종류에 따라 치료의 결과도 다르고, 또 암이 진행도에 따라서 생존율이 달라지기도 한다. 또 암을 한꺼번에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더라도 관리가 가능한 경우도 있어 암을 만성병이라는 개념으로 보기도 한다. 물론 정상인의 몸에서도 암세포는 늘 만들어 진다. 흔히 사용하는 `암적인 존재`라는 표현은 생각할 여지가 많고, 암환자가 흔해진 시대를 고려하면 최소한 나는 이런 문장을 사용하는 것은 조심스럽다.

암환자는 더 이상 낯선 이름이 아니다.

암은 모든 척추동물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유독 인간에게 흔하고, 실제로 한 사람이 평생 동안 암이 발생할 확률은 30%를 넘는다고 한다. 장기 생존한 암환자도 흔하며, 조기에 진단되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한 경우도 많이 늘었다. 하지만 암환자라는 말에는 여전히 불편한 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성숙한 사회는 `차이`가 나는 것을 `차별`로 생각하는 오류를 엄중히 경계해야 한다. 더 나아가 배려라고 생각하는 부분에 있어 더욱 그러하다. 우리가 말하는 배려 이면에 암환자를 차별하지 않았는지 한 번 되짚어 볼 일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우리라는 영역에 그들이 함께할 수 있게 만드는 일이다. 병으로 쉬었던 일을 다시 시작할 수 있게 하고, 평범한 일상을 만드는 것이 더 귀중한 일이라는 것이다.

암이 왜 사람에게 잘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이 없다. 하지만 굳이 표현을 하자면 암은 유독 만물의 영장이라는 `사람`에게 친화적인 질병이라고 할 것이다. 왜 신은 생각하는 인간에게 암을 주었을까? 암에 대한 과학적 혹은 의학적인 관심이외에도 암이라는 말에는 여러가지 깊은 생각이 함께 녹아있다. 무력감, 절망 그리고 희망 또 회복과 재활 그리고 사소한 것의 소중함까지….

김정구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위암협진팀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