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2차 이전 계획이 물 건너 가는 분위기임에도 불구, 지역 정치권 대응이 신통치 않다. 현 정부가 공공기관 이전 문제에서 손을 털게 되면 당장 대전과 충남이 난감해진다. 두 시·도는 어렵게 혁신도시 지정을 받았지만 공공기관을 수혈받지 못해 지금까지 달라진 게 없다. 이제나 저제나 하며 공공기관 2차 이전 계획이 나오기를 학수고대한 것도 그래서다.

이제 그같은 기대가 무너져내린 현실과 마주하고 있다. 현 정부에서 `계획 없음`이 공식화되는 바람에 사실상 파장 국면을 맞고 있는 것에 다름 아니다. 그렇다고 그러려니 하며 입 닫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기존 10개 혁신도시는 그래도 타격이 덜할 수 있다. 1차로 공공기관을 유치해 혁신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춘 단계인 까닭에 공공기관 추가 이전 시간이 지체돼도 감내해 낼 수 있는 자체 동력이 확보돼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전·충남은 사정이 다르고 특히 충남 내포 혁신도시의 경우는 더 절박한 처지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지역 정치권 태도에 있다. 사정이 여기에 이르렀는데도 현실을 외면하는 것인지 회피하는 것인지 가타부타 반응을 내지 않고 있음을 말한다. 지난 24일 충남혁신도시유치 범도민추진위원회의 국회 기자회견이 단적인 예다. 이 단체 중심 구성원들이 `공공기관 이전 결단과 대선 공약 반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 때 현역 정치인중 홍문표 의원만이 유일하게 참석해 힘을 싣는 모습이었다. 충남 현역의원 11명 중 1명이 얼굴을 보였으니 참석률 9%만 찍었을 뿐이다. 다른 장소도 아니고 국회였는데도 언론 노출을 애써 피했다는 합리적 의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이날 회견을 주도한 단체는 정치색과 일절 무관하다. 불가피한 사정이 있지 않는 한, 여야 가리지 않고 더 많은 수가 동참해 한 목소리를 냈어야 했다. 충남은 어떻게든 반발하고 나선 반면, 여당 의원 일색인 대전 정치권은 입장이 없는 게 입장인지 태평하기만 하다.

공공기관 2차 이전 무산과는 별개로 대전·충남 정치권은 공공기관 이전을 위해 사력을 다해야 한다. 특히 대전·충남의 예외적인 사정을 강조함으로써 개별 기관 이전 물꼬를 터야 하고 불가능할 것도 없다. 차제에 현역 의원 18명이 공공기관 1곳씩 책임지고 유치해볼 것을 제안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