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신산업 분야 여성과기인 유입 정책 필요
"AI·우주 여성인력 확대 등 정책 내실화 이뤄져야"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20주년을 앞둔 가운데 차기 정부의 여성과기인 정책은 `소수 보호`가 아닌 `국가 발전의 핵심 축`으로서 인식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미래 핵심기술로 분류되는 인공지능(AI)이나 우주·로봇 등 신산업 분야에서 특히 저조한 여성과기인 비율을 확대할 수 있도록 육성 방안 등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23일 과기계에 따르면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와 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등 과기 단체에서는 차기 정부의 여성과학기술인 정책 방향성으로 생애주기별 성장 지원, 정책 내실화 등을 강조하고 있다.

여성과총 정책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김소영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는 "소수를 보호한다는 시혜적인 기조를 탈피하고 여성과기인정책을 경제-사회-과학기술 등 국가 발전의 핵심축으로 지향해야 한다"며 "선진국은 이미 여성과기인의 다양성이 국가 발전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인식 중"이라고 제시했다.

과기계는 여성과기인정책을 단순히 여성의 경력 이탈과 단절을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춰서는 안 된다고 보고 있다. 생애주기적 `경력 성장`과 `경력 다변화`의 관점에서 정책을 세워 여성과기인을 지원하고, 면밀한 모니터링을 통해 사업의 내실화도 꾀어야 한다는 게 골자다.

특히 AI와 바이오헬스, 우주, 로봇 등 신기술·신산업 분야 여성 전공자와 전문가 육성에도 관심이 요구된다. 과거에 비해 여성 과기인이 증가했어도 여전히 공학 분야는 양성 단계에서 여성 전문인 비율이 낮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프랑스에서는 자동차와 나노기술 등 과학기술 전공에 진학하는 고등학교 3학년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사 후 1인당 1000유로를 지급하는 `과학기술직업상` 제도 등을 실시하고 있다"며 "(가칭)High-tech 여학생 진로장학금 등을 신설해 학생의 미래 비전을 평가하고 공학계열 진출시 장학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기계는 이 밖에도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을 위해 출산육아 시 연구가 중단되지 않도록 `과제 연장 제도` 등을 마련하고, 직장어린이집도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 교수는 "정부 예산은 관련법 제정 20주년이 내년으로 다가왔는데도 아직 부족한 게 현실"이라며 "한국사회가 근본적으로 저성장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는 분석들이 있는데,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여성과기인 정책을 `도와주자`가 아니라 적극적인 `성장 혁신`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 같은 여성정책이 `역차별`이라는 주장에 대해 송하중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은 "혜택이라고 보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 남녀가 물리적으로 다르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고, 이 다름을 전제로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며 "혜택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처해있는 상황을 판단하고, 사회 전반이 어떻게 수준 향상을 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인선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