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공공 기관장 등 참여 재창조위원회 출범
4차 산업혁명 선도 초격차 융합연구 산실로 육성

[그래픽=대전일보DB]
[그래픽=대전일보DB]
1973년 대덕연구학원도시로 출발, 오는 2023년 출범 50주년을 앞둔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세계적인 혁신클러스터로 탈바꿈 시키기 위한 재창조사업이 본격화된다. 사업의 실행 동력 확보는 물론 추진 과정에서 각종 의사 결정을 가능케 할 정부와 대전시, 산·학·연이 함께하는 컨트롤 타워가 출범하면서다.

14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12일 관계 부처, 산·학·연·공공 기관장, 국회의원 등 15명이 참여하는 `대덕특구재창조위원회`가 구성을 마치고 본격 활동에 돌입했다. 대덕특구재창조위원회는 실무 총괄 기능을 위한 운영위원회와 종합계획의 주요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4개 워킹그룹(연구·인재, 창업·사업화, 산업·공간, 과학문화·인프라)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대덕특구의 새로운 미래 50년을 위한 비전과 방향성 설정, 실행계획 수립 및 세부사업 확정 등을 위한 심의·의결 기능이 핵심이다.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의 추진 원칙은 개방형 혁신 생태계와 스마트 협업공간을 갖춘 미래형 클러스터로 단계적 전환이다. 대덕특구의 주요 요소인 연구활동(R&D), 기술사업화(기술이전·창업), 기업활동(산업), 인프라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혁신을 이끌어 내겠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인 목표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초격차 융합연구의 산실`, `한국판 뉴딜의 메카로서 미래 신 산업의 거점`, `첨단 스마트 인프라 기반 탄소중립 과학도시` 등 세 가지다. 여기에 추진 전략으로는 세계적 융합연구·창의인재 허브, 규제에서 자유로운 기술창업 전진기지, 국가 혁신성장과 미래 신산업의 거점, 과학문화기반 친환경·스마트실험도시 등이 수립됐다.

아울러, 전략별 실행계획으로는 대덕특구를 융·복합 R&D 혁신 캠퍼스로 대전환, 정부 출연연·대학 발 한국판 뉴딜 특화 공공창업 생태계 강화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에 산·학·연 기술협력기반 건강한 기업생태계 조성, 시민·연구자가 자유롭게 교류하는 과학문화 융합환경 조성 등도 담겼다.

이와 함께 정부와 시는 연구기관 중심의 폐쇄적 구조와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한계를 극복하고, 대덕특구를 국가혁신성장과 미래 신산업 거점지구로 육성할 계획이다. 또 융합연구혁신센터, 마중물플라자 등 대덕특구 재창조를 위한 선도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더불어 대전과학산업진흥원에 융합확산 기획사업 및 융합신기술 창출 특구기술 실증 선도사업 등 신규 사업을 마련, 융·복합 R&D 혁신캠퍼스 전환을 위해 선도적으로 투자할 방침이다.

대덕특구 재창조 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게 된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덕특구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시와 정부가 함께하는 새로운 거버넌스가 만들어진 만큼 재창조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지역의 모든 혁신역량을 결집하고 범정부 차원의 적극적 협업을 이끌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위원장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김복철 이사장은 "정부 출연연의 성과가 지역 산업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협업과 소통을 기반으로 대덕특구 재창조를 성공모델로 이끌어 나가는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덕특구는 1973년 대덕연구학원도시 건설기본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1978년 출연연 및 대기업 연구소 입주가 시작됐다. 이후 1992년 대덕연구단지가 준공됐으며 2005년에는 대덕연구개발특구로 확대·지정, 2011년에는 과학비즈니스 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됐다.박영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