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교육공무직 5097명 중 443명(8.7%) 파업
"파업 피해 막기 위한 장기적인 대책 마련 필요"

전국적으로 교육공무직 파업이 실시된 20일 오전 11시 30분 대전 서구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급식 대체식인 빵과 주스를 먹고 있다. 사진=조은솔 기자
전국적으로 교육공무직 파업이 실시된 20일 오전 11시 30분 대전 서구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급식 대체식인 빵과 주스를 먹고 있다. 사진=조은솔 기자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의 총파업이 20일 예정대로 벌어진 가운데, 대전지역 일선 교육현장에서는 일부 학교 급식이 빵과 우유 등으로 대체되거나 중단되는 등 차질이 빚어졌다. 파업이 이날 하루만 진행되면서 여파는 크지 않았다는 것이 현장의 목소리지만 앞으로 발생할 파업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요구도 적지 않다.

지역 내 급식조리사, 돌봄 전담사 등으로 구성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20일 오후 대전시교육청에서 총파업 대회를 열고 "내년 교육예산을 학교비정규직 불평등 해소와 교육복지 확대에 편성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교육 당국이 여전히 공무원 평균 임금 인상률 1.4%에도 못 미치는 인상안 외에는 더 이상 진전된 안을 제시하지 않아 교착상태에 있다"며 "급식노동자들이 폐암 등으로 고통받고 있지만 안전과 건강에 대한 교육당국의 대책이 없다"고 주장했다.

대전 지역에서는 이날 전체 교육공무직 노동자 5097명 중 443명(8.7%)이 파업에 참여해 12개(3.7%) 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됐다. 이번 파업 직종별 참여율은 유치원 방과후과정 전담사가 229명 중 66명으로 28.8%를 차지하며 가장 높았다. 이어 급식 영양사·조리원이 16.5%(1711명 중 283명), 특수교육실무원 8.3%, 돌봄전담사 5.1%, 그 외 교육공무직원 1.4% 순이었다.

이번 파업으로 초등돌봄교실은 전체 410개 교실 중 10개 교실이 축소·통합돼 운영됐다. 유치원 전체 102개원 중 7개원은 방과후교실을 운영하지 못하고 수업만 진행됐다. 38개(11.9%) 학교에서는 개인 도시락 지참이나 빵·김밥과 같은 간편식 등으로 급식을 대체했다. 해당 학교에서는 급식 공백을 메우기 위해 학부모·시니어 봉사단 등 보조 인력을 활용했다.

서구 A 초등학교 교장은 "파업이 예고됐을 때부터 최대한 정상적으로 급식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선제 조치를 마련했다"며 "학부모와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협조해 준 덕분에 파업 당일을 무사히 잘 보낸 것 같다"고 밝혔다.

유성구 한 병설유치원 교사는 "파업으로 급식과 방과후교실을 미 실시하면서 학부모에게 양해를 구할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상황이었다"며 "다행히도 파업이 하루만 진행돼 협조가 잘 이뤄졌지만 앞으로도 계속 파업이 발생하면 감당은 일반 공무원과 교사가 떠맡을 수밖에 없어 이를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소연했다. 조은솔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국적으로 교육공무직 파업이 실시된 20일 오후 대전시교육청 앞에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조합원들이 집회를 벌이고 있다. 사진=조은솔 기자
전국적으로 교육공무직 파업이 실시된 20일 오후 대전시교육청 앞에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조합원들이 집회를 벌이고 있다. 사진=조은솔 기자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