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은수 편집팀장
임은수 편집팀장
지난주 경제학상을 끝으로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인 2021노벨상 수상자가 모두 발표됐다. 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한 스웨덴 발명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제창된 상이다. 인류의 복지에 공헌한 사람이나 단체에 수여하는 상으로 총 6개 부문(문학·화학·물리학·생리학 또는 의학·평화·경제학)에 대한 수상이 이뤄진다. 수상대상은 생존해 있는 사람이며 수상자로 선정된 후 사망한 경우에도 수상 자격이 유지된다. 노벨상은 생존자 개인에게 주는 것이 원칙이나 평화상은 단체나 조직에 줄 수 있다.

노벨의 유산을 기금으로 하여 1901년부터 물리학·화학·생리의학·문화·평화 다섯 개 부문에 대해 시상하다가 1969년부터 경제학상이 추가됐다. 시상식은 노벨이 사망한 12월 10일에 열린다. 올해는 지구온난화의 전망을 예측한 과학자, 식민지 난민의 삶을 문학에 담아낸 아프리카 출신 흑인작가, 정치·권력에 맞서 싸운 언론인 등 다양한 이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국내에서는 노벨평화상을 받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있지만 노벨 과학상과 관련해서는 수상 경력이 전무하다. 과학기술분야의 노벨상을 받기 위해서는 연구자 개인의 능력과 노력도 필요하지만 기초과학연구에 대한 정부 등 주변의 꾸준한 지원이 필요하다. 과학기술자가 해당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어쩌면 왜 노벨상을 못 타느냐보다 노벨상을 위해 얼마나 정부와 관련 기관들이 어떤 노력을 했느냐가 먼저 아닌가 싶다. 기초과학을 교육하고 연구할 수 있는 인프라 조성도 강조된다. 무엇보다 미래 과학을 책임질 꿈나무들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세계 상위 1% 한국 과학자 규모를 봐도 2014년 18명, 2017년 29명, 2020년 46명으로 늘었다. 한국도 노벨상을 받을 수 있는 후보가 46명 정도 있다고 하니 가능성이 충분하다. 대전은 또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자원도 풍성하다.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한국도 노벨 과학상 수상자 배출이 그리 멀지 않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임은수 편집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