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1팀 김소연 기자
취재1팀 김소연 기자
정부가 다음달 9일이면 단계적 일상 회복, 이른바 `위드 코로나` 방역 체제 적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를 억제하기 보다 위중증 환자 치료·관리에 집중하는 것으로, 더 이상 코로나19를 중대 질병이 아닌 감기처럼 여기겠다는 일종의 선언을 한 셈이다.

다만 여기엔 몇 가지 조건이 따른다. 전 국민 70% 접종 완료, 감당 가능한 의료 체계, 방역 수칙 꾸준히 지키기 등이다. 확진자 치료를 위한 공적 의료 체계 항목을 제외하고는 국가의 역할보다 개인의 책임이 강조된다. 방역당국도 "일상 회복은 단계적으로 질서 있게, 정부와 국민 모두가 함께 해나가야 한다"며 개인 참여의 중요성을 거듭하고 있다.

위드 코로나의 핵심은 개인의 `자율 책임`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정부가 시행해 온 방역 통치에 협조하는 것을 넘어 개인 스스로 책임의식을 갖추는 노력이 요구된다. 규제 없이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태도는 위드 코로나의 정착을 서두르게 할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 더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저 사람도 나만큼 노력할 거야"라는 믿음이다.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도 방역 수칙을 잘 지킬 것이란 상호 신뢰가 유지되고, 나아가 그 수준이 높아진다면 모두가 꿈꾸는 진정한 위드 코로나가 실현될 수 있다.

그렇다면 상호 신뢰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아이러니한 점은 그 시작점이 바로 정부라는 것이다. 정부의 일괄 지침에서 벗어난 위드 코로나의 시작점이 다시 정부라니 납득하기 어려울 만하다.

위드 코로나는 코로나에 관한 기조나 원리를 바꾸는 `체제`의 변화다. 때문에 방역의 전략 차원이 아닌 삶의 양식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로써 접근이 필요하다. 삶의 양식엔 복지와 고용, 노동, 돌봄 등이 있으며 이러한 것들이 개인에게 안정감을 줘야 한다. 즉, 경제적 걱정 없이 타인도 나처럼 감염이 의심될 때 마음 놓고, 생활에 아무런 피해 없이 쉴 수 있는지 여부 등이 상호 신뢰의 바탕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변화는 사회적 구조를 책임지는 정부가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만들어진 믿음은 결국 자율 책임으로 이어져 위드 코로나의 성패를 가를 것이다. 취재1팀 김소연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