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규 건축사 충남건축사회 부회장
한민규 건축사 충남건축사회 부회장
건축(건물)은 건물 그 자체 하나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반영돼 있는 삶의 방식·질서 등 내적 요소 또한 들어있다. 내적 요소는 밖에서 보이는 건물 그 자체로는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과거의 건축은 건물 그 자체 혹은 목적에 따른 외관이나 구조에만 치중했던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엔 여기서 벗어나 건물 내부에 반영되는 삶과 질서가 주변 환경과 그 요소로서 스며드는 건물의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건물 쓰임에만 주목하는 것이 아닌 건물의 구조와 외관, 삶과 생김새의 조화로움이 조명받고 있다. 이에 맞춰 우리는 현재의 건축, 즉 건물에 삶의 방식·질서가 그대로 투영되어 지어지며 그것이 주변의 환경과 건물의 외관에 잘 어우러지는 건축을 생각해야 할 시대가 왔다.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

우리 주위에는 법규가 허용하는 최대한의 면적을 최소한의 투자로 만들어 최대의 이익을 얻기 위해 만들어지는 건물들이 많이 있다. 이런 건물은 사용 승인이 나자마자 곧 건물 여기저기에 구멍이 뚫리고 군더더기가 붙기 시작한다. 건물의 아무 곳에나 에어컨 실외기 및 간판이 서로 경쟁하듯이 달라붙는다. 임대계약이 끝나면 에어컨 실외기 및 간판은 새 것으로 교체되기도 하고 그냥 상처 있는 구멍만 남기고 철거되기도 한다. 싸구려 재료로 호들갑스럽게 만들어진 간판들이 건물의 벽을 마구 파내고 붙여지는 동안 우리의 주변은 더 난잡하기만 하다. 그리고 이는 아직도 우리가 문화보다는 생존에 더 큰 의미를 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서글픈 단면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도시 전국 어디를 가더라도 이러한 현상은 결코 달라지는 것이 없다. 서울이든 부산이든 대전이든 간에. 건물은 단독으로 서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건물이 들어서면 자의든 타의든 간에 주변과의 관계를 맺는다. 이 관계를 잘 살피는 것이 건축사의 임무이기도 하다. 건축주가 최소한의 효과로 최대한의 효율을 얻기 위한 것은 인지상정이지만 건축주의 생각과 의견을 상세하게 파악해 건축주의 요구를 최대한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 건물 앞을 지나가는 사람에 대한 배려, 건물을 이용하는 사람에 대한 배려를 통해 우리는 각박한 세상에서 조금이나마 좀 더 성숙한 사회로 변화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우리를 기쁘게 하는 것.

건축사들이 건물을 설계하면서 과연 이 건물이 누구를 위한 건물인가 하는 질문들을 스스로에게 하면서 프로젝트에 임한다. 건축사는 누구에게(의사인 경우에는 히포크라테스) 엄숙하게 선서를 하지 않는다. 건축은 인간을 위해 존재한다고 건축사는 스스로에게 또는 타인에게 이야기하곤 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 건축사들의 아이디어와 노력은 자본의 배타성에 의하여 헛된 것이 되고 만다. 그래도 눈을 크게 뜨고 우리 주위를 살펴보면 건축사와 건축주의 고뇌와 노력을 보여 주는 건물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1층 부분은 꼭 필요한 부분을 남겨 두고는 모두 공터로 개방해 그 건물을 지나는 사람들은 이 땅을 지름길로 이용해 다른 곳으로 향할 수도 있고 그 건물에서 일을 하던 안 하던 잠시 휴식 또는 만남의 장소로도 이용 할 수 있다. 서류상의 소유 명의를 떠나 이 땅은 시민에게 열려 있는 것이다. 이 경우 공공영역의 할애가 오히려 건물의 가치를 높여준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건축사와 건축주의 사고를 고스란히 보여 주면서 우리에게 기쁨을 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건축은 단순히 건물을 짓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오히려 그 건물 속에 우리들의 삶이 담기면서 그 건물과 더불어 하나가 된다. 이러한 삶을 담는 좋은 건축의 목표는 무엇일까. 당연히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면서 삶의 가치에 대한 이해이다. 이 이해를 바탕으로 좋은 건축이 계속 생김으로써 우리 사회는 조금 더 발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민규 건축사 충남건축사회 부회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