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2팀 정민지 기자
취재2팀 정민지 기자
`벌어져 난 틈의 사이` 또는 `어떤 행동을 할 만한 기회`. 국어사전은 `틈새`를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강력한 대출 규제라는 기회 아닌 기회를 맞아 금융권은 대출 수요를 억제한다는 명분 아래 대출금리를 무섭게 올리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3.03-3.63%로 나타났다. 2.34-2.78%에 머물렀던 1년 전과 비교해 0.69-0.85%포인트나 뛴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또한 최근 3개월 새 급증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이달 3일 기준 주담대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2.80-4.30%다. 지난 5월 말(2.35-3.88%)과 비교해 0.42-0.45%포인트 오른 수준이다.

이처럼 금융권 대출금리가 치솟는 배경에는 기준금리 인상과 가계대출 총량 규제가 맞물린 영향에 있다고 금융업계는 설명한다. 실제 인상 전부터 기대감이란 명목 하에 꾸준히 선반영된 기준금리는 차치하고, 폭증하는 가계빚을 내리누르기 위해선 대출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다만 널뛰는 대출금리와 비교해 예·적금 등 수신금리 인상폭은 매우 낮은 수준에 그치면서 시중은행들은 `잇속 챙기기`라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올 7월 신규취급액 기준 예금은행 평균 저축성수신금리는 0.97%다. 1년 전보다 소폭(0.15%포인트) 올랐다. 지난달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조금씩 올리고 있지만 여전히 1% 초·중반대 저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예대금리차는 은행 수익에서 두드러지게 확인되고 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최근 금융감독원에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은행들이 지난 3년간 예대마진으로 벌어들인 수익은 120조 원에 달한다. 해마다 증가하는 양상으로, 올해도 지난해 수준을 충분히 상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서민과 실수요자들이 대출절벽에 시름하고 있을 때 은행들은 역대급 실적을 올린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이에 은행들은 "대출금리가 아니라 대출 총량이 늘어 증가한 것"이라며 "폭리를 취한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하고 있지만, 서민들은 되묻는다. "이게 폭리가 아니면 어떤 게 폭리입니까?" 취재2팀 정민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