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미래차 인프라 유리한 위치
중소기업 인력유출 방지 방안 필요

10일 오후 2시 아산 온양제일호텔에서 열린 `환경변화에 따른 자동차산업의 미래와 대응반안` 노사포럼에서 패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박하늘 기자
10일 오후 2시 아산 온양제일호텔에서 열린 `환경변화에 따른 자동차산업의 미래와 대응반안` 노사포럼에서 패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박하늘 기자
[아산]미래차 전환으로 인한 고용감소보다 오히려 시장의 확대로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미래차 인력 규모, 전장(전기전자)부품 생산 기업 수 등 충남이 미래차 산업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면서 전장부품으로의 발빠른 전환이 과제라고 제언했다.

아산시는 지난 10일 오후 2시 온양제일호텔에서 충남노사민정협의회, 호서대와 함께 `환경변화에 따른 자동차산업의 미래와 대응반안` 노사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아산시 상생형 일자리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의 자동차 산업을 진단하고 노사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포럼에서 발제를 맡은 한국자동차연구원 이항구 연구위원은 `환경변화에 따른 자동차산업 일자리 및 노사관계 전망` 주제발표에서 우리나라의 미래차 관련 인력 부족을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차량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완성차에서 10%가 안 되지만 2030년이면 자동차 부품 2/3가 소프트웨어로 움직일 것"이라며 "우리나라 차량용 소프트웨어 인력은 현재 2000여 명, 미국은 2만 3000명이다. 전기차 시장 규모가 2.5배 차이가 나는 것을 감안하면 7000~8000명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전기차 관련 엔지니어 수도 미국은 11만 명, 우리나라는 4만 명이다. 미국 시장규모와 비교할 때 4만 명이 더 필요하다"며 "미국의 친환경차 고용이 25만 명이 넘는다. 우리나라는 6만 명 정도로 보고 있다. 전기차 부품도 4년 후 현재의 7배가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연구위원은 "고용인원 37% 준다고 하는데 근거가 없다. 인력들 재교육하고 재배치할 시스템이 없는 것"이라며 "부품 쪽 시장규모가 더 커질 것이다.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서비스업도 커지기 때문에 이쪽을 공략하는데 일자리 문제가 좌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이 시장을 공략할 준비가 전혀 안 돼 있다고 본다"며 "서비스 인력을 가늠하긴 어렵지만 제조업에서 주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충남의 미래차 전환에 가장 많이 대비가 돼 있다고 평가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내연기관에 들어가는 엔진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의 생산은 충남이 가장 많다. 지난 2018년 전장부품 산업의 매출액은 약 375조 원으로 가장 많다. 그는 "충남이 수도권을 제외하면 미래차 관련 인력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며 "전장 부품으로 빠르게 전환하는 게 목표다. 지역에 전기동력차 부품업체가 기반이 안 된다면 현대차는 해외공장에서 생산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장재성 한국노총 금속노조 충남지역본부 의장도 패널 토론에서 "친환경으로 전환되다보니 기업들이 위기라고만 보고 있지 않다"면서 "과잉 생산, 과잉 축적되던 것이 새로운 시장이 열리고 있고 규모도 어마어마하다. 지금처럼 제조공정이 늘어나는 형태가 아닌 플랫폼 노동자, 소프트웨어 노동자 등 제조 외에 인력이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미래차 인력이 태부족이라고는 하지만 중소기업은 기술자를 구할 수 없게 되고 엄청난 지출을 해야 될 것"이라고 중소기업의 인력 보유 방안 마련에 대해 지적했다. 박하늘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