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제회의복합지구 추진 사업에 서서히 가속도가 붙고 있다. 대전의 11개 기관이 참여한 복합지구 협의체가 그제 2차 회의를 열고 대전컨벤션센터와 주변 지역을 국제회의복합지구로 지정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이날 회의는 계획을 논의하는 수준에 머물렀지만 회의를 거듭할수록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은 좀 생소하게 들리는 국제회의복합지구는 전문 회의시설과 숙박, 교통, 쇼핑 등 편의시설이 집적된 400만㎡ 이내 구역을 말한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공모 과정을 통과하면 지정이 승인돼 교통유발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 감면, 사업비 지원 등 관광특구에 준하는 혜택을 받게 된다. 이런 연유로 지자체들은 다투어 문체부 공모에 뛰어들어 2018년 인천시, 고양시, 광주시가 지정됐고 지난해는 부산시와 대구시가 선정됐다. 해당 지자체들은 지구 지정을 발판으로 지역의 MICE 산업 활성화, 국제 비즈니스 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전의 복합지구 추진은 다소 늦었지만 그럼에도 불구, 지구 지정을 위한 여건은 나쁘지 않다. 대전시가 구상하는 복합지구는 갑천을 중심으로 대전컨벤션센터, 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한빛탑, 엑스포과학공원, 한밭수목원, 예술의전당, 시립미술관 등이 한데 어우러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만한 규모의 회의·쇼핑·레저·공연·문화시설이 집적된 곳도 찾기 쉽지 않다.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 요건에 상당히 근접해 있는 셈이다. 대덕연구개발특구가 바로 옆에 위치해 `과학`을 키워드로 MICE를 결합해 차별성을 강조할 수도 있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복합지구 정책에 가장 부합하는 지역이 바로 대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국제회의복합지구는 시설물의 집적화만으로는 부족하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처럼 시설물들의 연계 활용 방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복합지구 지정을 위해 각각의 시설물을 연결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컨벤션센터와 집적시설의 협력, 공동사업 발굴 등 명확하고 차별화된 육성 계획이 따라야 한다. 이것만 되면 대전이 비록 후발 주자이지만 복합지구를 선점한 인천이나 광주, 고양에 비해 결코 뒤질 게 없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