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인력·소장자료 등 질적 측면에서 지역 간 문화 격차 뚜렷
정기 전수조사 진행·다양한 균형 지수 고려한 지역 맞춤형 문화 정책 모델 필요

지역 간 문화 불균형이 여전한 가운데 지역 문화기반시설 현황과 질적 측면 등을 고려한 균형 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최근 국회입법조사처가 발표한 `2021 국정감사 이슈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인구 100만 명당 문화시설 수는 수도권 약 42개, 비수도권 약 74개로 집계됐다. 하지만 운영 인력·소장자료·공연일수 등 내실화 측면에서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박물관 평균지표 현황을 살펴보면 1개 관당 평균 직원 수는 수도권 13.25명, 비수도권 9.13명이었으며 학예직원 수는 수도권 5.08명, 비수도권 2.67명이었다. 소장자료 수도 수도권 1만 8313개, 비수도권 1만 2474개로 격차가 뚜렷했다.

미술관 직원 수 역시 수도권 1개관당 평균 15.66명, 비수도권 7.23명이었으며, 학예직원 수는 수도권 5.11명, 비수도권 2.75명이었다. 소장자료 수는 수도권 1만 8313개, 비수도권 1만 2474개였다. 문예회관의 경우 1개 관당 평균 직원 수는 수도권 47.56명, 비수도권 17.72명이었으며 전문직원 수는 수도권 9.95명, 비수도권 4.58명이었다. 소장자료 수는 수도권 815개, 비수도권 679개로 집계됐다. 인구 10만 명당 공연일수는 수도권이 135일이었던 반면 비수도권은 92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지역 문화예술계 관계자는 "주요 시설·소장자료의 `수도권 쏠림 현상`은 이미 이건희 미술관 유치전에서 명확히 드러났다"며 "무작정 시설만 늘릴 것이 아닌 소장자료·작품 분산화를 통한 문화 균형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역 문화기반시설 한 관계자는 "2가지 이상의 업무를 1명이 담당하는 등 업무량이 과부하된 상황"이라며 "시설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학생, 전문가, 성인 등 이용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체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운영인력 확대·지속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시설 조사를 통한 지역 현황 파악이 선행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희성 단국대 문화예술학과 교수는 "전수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인력 등 지역 문화시설 운영 실태와 콘텐츠 등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며 "이와 함께 시설 총량 뿐 아닌 인구 대비·인프라 불균형 등 다양한 균형 지수를 고려한 지역 맞춤형 문화 정책 모델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이태민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