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2부 박우경 기자
취재 2부 박우경 기자
오는 2023년 출범 50주년을 앞둔 대덕연구개발특구는 1978년 대덕연구단지 건설로 본격화됐다. 같은 해 한국표준연구소의 첫 입주를 시작으로 한국선박연구소와 한국화학연구소 등이 들어섰다. 1992년 주거지와 편의시설 등 기반시설이 조성되며, 연구개발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됐다. 1993년 대전엑스포가 열리면서 대덕특구의 과학기술을 세계에 알렸다. 1997년 인력·연구비 감축 등 외환위기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며 우리나라가 과학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2005년 특구법 시행에 따라 대덕연구단지에서 대덕연구개발특구로 확대·개편됐다. 이후 대덕특구 육성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이 이어졌고 비약적인 성과와 발전을 이뤘다. 2018년 말 기준 정부 출연 연구기관을 포함한 공공연구기관 45개 등 2000여 개 기관이 대덕특구에 입주해 있다. 2005년 744개 기관이 입주했던 것과 비교해 3배 가까이 증가했다.

대덕특구는 그간 눈부신 성과를 이뤘으나, 지자체와 연계가 미흡하고 지역 산업과 연결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상당했다. 특히 지역 주민과 연구기관이 소통하고 교류하는 공간도 미흡했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무엇보다 정부 출연연은 석·박사급 고급인력이 다수 포진돼 있음에도 연구원 간 혹은 연구원과 청년, 연구원과 기업인 등 다양한 주체들과 소통·공유하는 문화가 조성돼 있지 않았다. 그렇다 보니 연구기관이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이 상당했다.

대전시도 이를 탈피하기 위해 지역 주도의 지역-정부 출연연 협의체를 운영했지만 형식적 참여에 불과했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더욱이 지속가능성이 떨어져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그런데, 대전시가 대덕특구 출범 50주년을 앞두고 지역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신발끈을 동여매고 있다. 산·학·연·관 주도의 정책 공동체인 대덕특구재창조위원회 구성에 속도를 내면 서다. 시는 내년도 대덕특구재창조위원회 출범을 계기로 산·학·연이 주도하고 관이 적극 지원하는 환경 조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지역 연계성을 높이고 지역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강한 의지다. 앞으로 대전과 충청 등 지역과 함께 호흡하는 대덕특구에 기대를 걸어본다. 취재 2부 박우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우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