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이상 시립예술단원 비중 '80%'… 고령화 현상 심각
市, 명퇴제도·평정 개편 등 노력하지만 중앙제도 한계 부딪혀 '골머리'

대전시립예술단이 명예퇴직제를 도입한지 4년이 지났지만, `단원 고령화 현상`이 여전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학을 졸업한 지역 청년 예술인들이 무대에 설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지난 2017년 정부는 퇴직 정년을 55살에서 60살로 연장함에 따라 대전시는 단원들의 고령화로 인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 이듬해인 2018년 명예퇴직제를 도입했다. 상임단원으로 20년 이상 근속자가 정년 전 스스로 퇴직한다면 9급 공무원 기준의 호봉제에 따른 퇴직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시립예술단에 명예퇴직을 신청한 사례는 지난 4년 동안(2018-2021년) 5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시립예술단원 정원은 총 195명으로 이 중 20년 이상 근속한 단원이 103명에 달한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1-50살이 총 정원 중 87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31-40살(32명), 51-60살(69명), 21-30살(7명) 순이다. 이 중 40대 이상 단원 비중이 약 80%에 달한다.

이처럼 명예퇴직 수요는 적은데다 고령자 비중이 많아 청년층의 입단 기회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지역 한 음악대학 재학생 김모(24)씨는 "시립예술단의 경우 좀처럼 자리가 나지 않아 입단을 꿈꾸기조차 어렵고, 혹여 모집공고가 난다 해도 경쟁률도 치열하다"며 "빈 자리에 청년들이 유입되는 선순환 구조를 이뤄야 하는데, 들어갈 기회조차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대전시는 명예퇴직제 도입을 비롯해 예술 기량 기준을 등급별로 구분해 수당을 차별화하는 `평가제도`와 예능·직무수당을 개편하는 등 다방면으로 개선을 시도하고 있지만 뾰족한 대안을 찾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오래 전부터 이야기가 나와 그에 대한 답안을 찾고 있지만, 근로기준법 등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아 쉽지 않다"며 "향후 10년 사이 퇴직자가 몰려 있어 이들이 빠져나간 이후 자리가 생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시립예술단 한 관계자는 "예술단원 자리를 선뜻 내려놓기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IMF 이후 경기 침체가 지속됨에 따라 안정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더욱 강해졌다"며 "분야별 특성을 고려해 정년을 조절하는 방안 등도 논의됐지만, 예술단원들의 경우 근로자 기준 적용을 받다 보니 합의가 이뤄지지 못했다"고 말했다.이태민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