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3부 정인선 기자
취재 3부 정인선 기자
K-바이오 랩허브를 놓친 대전시의 후폭풍은 예상대로 컸다. 일각에서는 "먼저 제안했는데, 결국 물 먹었다"며 지역 정치권의 중앙 정치력 한계를 질타하기도 했다. 시가 각종 역량을 쏟아 부으며 갑(중앙)에 호소했으나, 사실상 `수도권 일극주의`라는 벽을 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지방자치가 부활한 지 30년이 됐지만, 지방은 계속 `을`의 입장에 서 있다. 정부 `국가균형발전` 비전이 무색하게 현실은 `지방 소멸`에 가깝다. 지방에서 좋은 사업을 제시해도, 결국 수도권에 줘버린다. 중소벤처기업부가 랩허브 공고를 냈을 때, 관련 업계에서도 "조건 자체가 수도권에 유리한대로 짜여져 있다"는 아우성이 팽배했고, 이는 랩허브가 `인천행(行)`으로 결정되면서 곧 현실이 됐다. 공모와 상관없이 보스톤 랩센트럴을 벤치마킹해 사업을 추진하려 했던 대전시의 허탈감이 무엇보다 클 수밖에 없던 이유다.

랩센트럴은 시가 먼저 제안했던, 공모와 상관없이 전국에서 가장 먼저 추진하려 했던 사업이다. 대전은 출연연과 바이오 벤처기업이 밀집해 있어 `사업 최적지`로 꼽힌다.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던 코로나19 진단키트도 대덕 벤처기업에서 탄생했다.

공모 탈락으로 후폭풍이 거셌고, 사기 하락이 우려되기도 했지만 시는 즉각 `대전형 바이오 랩센트럴`을 추진, 보스턴 랩센트럴 같은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시설·장비 구축에 막대한 예산을 쓰고, 대기업 위주로 돌아가는 `인천형 랩허브`와는 달리 기존 취지를 살려 스타트업 기업을 집중 지원하고, 이를 통한 경제 성장을 이끈다는 복안이다.

일각에서는 중기부가 추진하려는 사업 방식이 기존 대전시가 추진하고자 했던 방향과 너무 달라 `오히려 독자적으로 가는 게 낫다`고 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미 관련 인프라가 충분한 만큼, 행정력은 물론 지역 정치권, 관련 단체 등이 하나로 힘을 모아 기존 취지를 잘 살려 성공적 모델을 구축해주길 바란다. 이를 위해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응원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어차피 수도권에 줄 거면서, 괜한 공모로 지방정부의 사기를 꺾냐"는 현장의 목소리가 더는 나오지 않도록, 정부도 국가균형발전이라는 기조를 다시 되새겼으면 한다. 취재 3부 정인선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