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센트럴 입주 조건·운영 방식 등 추진 방향 밑그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대전시가 바이오 창업의 요람인 `대전형 바이오 랩센트럴` 구축을 앞두고 성공적인 전략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기존 `관` 주도의 사업 방식에서 벗어나 민간 참여를 확대하고, 지원 범위와 입주 조건 등을 엄격하게 설정해 `소수정예`에 특화된 창업단지를 만든다는 복안이다.

앞서 시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케이(K)-바이오 랩허브` 공모에서 탈락, 이와 별도로 독자적인 대전형 바이오 랩허브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대전형 사업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의 우수 인프라를 활용해 대전만의 바이오 특화단지를 조성하는 게 골자다. 2030년까지 5443억 원을 투자해 바이오 창업에서 성장까지 지원하고, 전문인력을 양성·유치할 방침이다.

시는 중기부 공모 사업인 바이오 랩허브가 이미 `인천행(行)`으로 정해진 만큼, 차별화된 전략 마련을 통해 사업의 성공을 이끈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형 랩허브는 창업 보다는 기업 `보육` 쪽에 가깝다"며 "대전은 창업 자체에 방점을 두고, 스타트업 기업 위주로 지원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존 창업 시설처럼 아무나 입주시키고 지원해주는 게 아니라 보스턴 랩센트럴처럼 까다롭게 조건을 설정해 스타트업 기업을 유치할 것"이라며 "성공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소수정예로 선정해 집중 지원하고, 단기간에 성공시켜 내보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존 `관` 중심의 사업에서 벗어나 민간 주도로 바이오 생태계가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업 명이 중기부 공모 이름이었던 `랩허브`나 보스턴 랩센트럴에 착안한 `랩센트럴`로 혼용되고 있는 만큼 신규 사업 명칭도 마련할 방침이다.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바이오 산업 담당 인력도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인근 충북도가 바이오산업국을 별도로 두고 다양한 정책 지원을 하고 있는 것에 반해, 대전시 전담팀은 4명 규모의 바이오산업팀만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는 세부 전략 마련을 위해 KAIST와 생명연, 충남대병원, 바이오헬스케어협회, 대전테크노파크, 대전과학산업진흥원(DISTEP), 지역 벤처기업 등과 함께 내달 초 간담회를 열고 추진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스타트업파크와 팁스타운,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기존 창업지원시설을 적극 활용해 시너지를 내겠다"며 "대전만의 바이오 특화단지를 조성해 신규 일자리 창출 6000명, 바이오전문 인력·우수 인재 유치 1000명, 바이오 혁신기술 개발 100건 등의 효과를 내겠다"고 말했다. 정인선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