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2부 장진웅 기자
취재 2부 장진웅 기자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해 1월 20일 이후 1년 반이 지났다. 그사이 확산세는 오름과 내림을 반복했다. 지난해 말 3차 대유행 이후 지난달까지 중간중간 위기가 있었지만, 다행히 상황은 진정세로 가는듯했다. 이에 방역당국은 거리두기 완화라는 빗장을 풀 계획을 세웠다. 의료계 등 전문가 그룹에선 이를 시기상조라고 진단하고 전국민의 집단면역이 형성되기 전까진 거리두기 체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방역당국은 이달부터 각종 방역지침 완화와 해제를 골자로 한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적용했다.

결과는 수도권에 새 거리두기 단계 최고 수위인 4단계가 적용되고 신규 확진자 규모가 역대 최다를 경신하는 등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4단계가 적용된 수도권에선 오후 6시 이후 사적모임 제한 인원이 2명으로 대폭 줄어드는 등 사실상 통행 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시민들의 불편과 소상공인들의 피해는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앞선 단계가 아닌 최고 수위인 4단계를 바로 적용한 데 대해 박수가 나오고 있다. 지금 확산세를 잡지 못하면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상황이 빚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대전의 경우 신규 확진 규모가 거리두기 3단계에 근접하면서 방역지침 강화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거리두기를 현 2단계로 유지하되 사적모임 인원 제한을 8명에서 4명으로 줄이는 것도 살피고 있다.

그러나 수도권처럼 4단계로 격상하는 등 방역 고삐를 더 조여야 한다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거리두기 1·2단계가 적용 중인 대전 등 비수도권으로 `원정 유흥` 사례가 늘고 있고, 이로 인한 추가 감염 우려도 커지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또 전문가들은 모임 인원을 4명으로 줄이는 데 대한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선제적 거리두기 조정이야말로 확산세를 잡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계속된 조정에 의한 시민사회의 혼란도 줄일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쇠뿔도 단김에 빼랬다고 했다. 망설이다간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처해질 수 있다. 취재 2부 장진웅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진웅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