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3부 정민지 기자
취재3부 정민지 기자
최근 금융업계건 유통업계건 할 것 없이 빠지지 않는 화두가 있다. 바로 지속가능성이다. 단순히 현재 수준에 머무는 것을 벗어나 미래를 준비한 경영, 즉 지속가능한 전략을 잘 구성해야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고 미래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다.

이러한 지속가능성은 비단 경제계만 국한되지 않는다. 나날이 가속화되는 지역불균형 문제에서 어쩌면 지속가능성은 필수불가결한 화두다. 현재 대전지역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지역경제가 휘청이고 있으며 충청권 지역자본 역외유출 규모는 전국에서 최상위 수준일 정도로 그 문제가 심각하다.

지역격차를 허물고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단기 견인책이 아닌 지속가능한 전략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튼튼한 지역경제를 위해 단기적인 자구책이 아닌 장기적인 돌파구로 떠오른 것이 바로 지방은행 설립이다.

지역 경제계 한 관계자는 지방자치를 성공하려면 경제적으로 자치가 완성돼야 하며, 경제적으로 자치를 완성하려면 금융자치가 함께 와야 한다고 거듭 강조한다. 이때 금융자치는 지방은행으로 완성할 수 있다는 제언이다. 지방은행은 지역밀착형 금융을 기반으로 지역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 될 수 있다는 기대에서다.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필요성은 이미 10여 년 전 대전시와 충남도, 세종시를 중심으로 공감대 형성을 끝냈다. 수도권 제외 충청권과 강원지역만 유일하게 지방은행이 없는 점은 차치하고, 지역 역외 소득 유출과 예금은행 중소기업 대출 비율 등이 지방은행이 있고 없고만으로도 큰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의제는 결국 지역 간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10년이 지난 지금, 다시 지방은행 설립에 대한 논의가 떠올랐다. 현 시점, 과거와 비교해 달라진 것이 있다면 흘러버린 10년이란 시간뿐이다. 지역불균형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며 지역경제는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이를 뒷받침해줄 역할은 여전히 부재하다.

지방은행 설립 아젠다는 아젠다로만 끝나선 안 된다. 10년 전처럼 이슈만 끌고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선 안 된다. 이를 위해선 지역 경제계는 물론 정관계가 강한 의지를 가져야 한다. 지방은행 설립 현실화까지 끌고 갈 수 있는 힘, 지구력이 필요한 때다. 취재3부 정민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