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3부 정인선 기자
취재 3부 정인선 기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 수장을 맡고 있는 김장성 원장에 대한 과학기술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2018년 7월 취임한 그가 최근 임기 만료를 앞두고 연임 유력 인사 명단에 올랐기 때문이다.

그동안 NST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 수장 중 연임을 성공한 인물은 이병권 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단 1명 뿐.

고질적 병폐로 꼽혔던 비효율적인 연임제도는 `과기출연기관법`이 마련되면서 실타래가 풀리는 듯 보인다.

기관평가 최상위 말고도 차상위를 받으면 임기를 연장할 수 있게 되면서, 장기적 연구의 연속성 확보는 물론 책임 경영도 가능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더 나은 환경을 위해서 마련된 개정안이지만, 사실 `갈 길이 멀다`는 현장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투명한 절차, 구성원 의견 반영, 객관적 평가 기준 등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모든 게 부재합니다."

"무조건적인 임기 연장만 부여하는 이 제도를 반대합니다."

기관을 이끌 수장으로서, 단순히 임기 연장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공개적인 토론회 등을 거쳐 투명한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게 이들의 골자다.

이 같은 주장은 지난 국정감사 과정에서 수차례 언급됐지만,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출연연 한 인사는 "여러 요구사항을 다 담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사실상 과기계를 향한 관심과 이해가 적었기 때문이 아니겠냐"고 토로했다.

김 원장의 연임이 사실상 확정됐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그의 앞으로 행보에 무엇보다 관심이 쏠린다. 출연연 기관장 40%가 더 임기를 연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시작점이 순탄하지 못하다면 추후 타 기관에서 잡음이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를 위해 향후 민주적 소통을 강화하고, 생명연 약점 중 하나인 `비정규직 노동자 정규직 전환` 부분도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잘 풀기 위한 실타래(과기출연기관법)가 더 꼬이지 않도록 노력하는 기관장의 의지를 기대해 본다. 취재 3부 정인선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