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원섭 편집부장
송원섭 편집부장
엄청난 폭발음과 함께 ‘그 날’ 일본의 재앙은 시작됐다.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지방 태평양 해저 24㎞ 지점에서 규모 9,0의 대지진이 발생했다. 곧바로 들이닥친 거대한 쓰나미는 후쿠시마 제1원전을 덮쳤고 수소 폭발과 함께 엄청난 양의 방사능이 누출됐다. 2만 여명의 희생자를 낸 이 사고는 1986년 체르노빌 원전사고 이후 최대 규모로 기록됐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겠다고 발표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녹아내린 원자로에 빗물과 지하수 등이 유입돼 하루 평균 140t의 오염수가 포화 상태로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바닷물로 희석해 방류하면 삼중수소 농도가 떨어져 안전하다는 변명도 늘어놨다. 전문가들은 삼중수소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해도 걸러지지 않는다며 많은 세계인이 피폭자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주변국들이 발끈하는 이유다.

일본과 가장 인접한 우리나라는 그 심각성이 더하다. 방류된 오염수는 연안 해수 흐름에 따라 단기간에 흘러 들어올 수도 있고 북태평양을 크게 우회한 뒤 4-5년 내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환경단체는 물론 어민들까지 해상 시위에 나서는 등 오염수 방류 결정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태평양이 일본 혼자만의 것은 아니다. 다른 나라 바다까지 오염시키는 건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다. “처리수라 깨끗하다”는 일본에 “먼저 마셔보라”는 초강수 사이다 발언을 한 중국과 달리 우리 정부는 심각한 우려 표명 정도의 미온적 대응으로 일관해 왔다. 일본의 한 의원은 “한국이 국제해양재판소에 제소하면 웃음거리가 될 것”이라고 주장해 공분을 샀다.

원전 오염수는 한 번 방류되면 그 피해는 걷잡을 수 없다. 보관 탱크를 늘려 장기 보관할 수 있는데도 ‘나만 아니면 된다’는 식의 행동은 국제 범죄로 결코 용납해서는 안 된다. 방사능 측정과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과 협력해 강력하게 조치해야 한다. 잘 풀리지 않는 위안부 문제도 그렇고 참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이다. 회초리라도 들어야 할 판이다. 송원섭 편집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