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생활문화 인프라를 끌어올리기 위해선 지역 특색을 살리는 등의 공간 정책과 함께 민간의 협력을 이끌어 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보다 속도감 있는 행정수도 완성이 생활 인프라 뿐만 아니라 지역 전반의 물적·양적 상승을 견인할 것이라는 제언도 나온다.

20일 세종시에 따르면 최근 실시된 지역 사회조사 결과 시민 절반이 거주지 인근에 문화·여가 생활 시설이 조성돼 있지 않아 불만족스럽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세종지역 문화·여가 등 생활문화 인프라 구축을 위해 민·관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분석했다.

세종문화재단 관계자는 "세종은 도시가 발전하는 단계로, 문화예술 공간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도시 많은 부분이 공공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타 지역, 대도시를 살펴보면 생활문화 인프라의 대다수는 민간에서 주도하고 있다. 세종 또한 공공이 모든 것을 주도해야 한다는 기대보다는 민간분야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방향이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공해서 해야 할 부분은 도시를 특색이 살아있는 곳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현재까지는 세종시는 도로를 깔고 건물을 짓는 사회간접자본 확장에 집중해왔다"며 "공공은 기술적으로 생활문화 인프라를 구축·관리하는 것이 아닌, 지역색을 입히는 것을 고민해야 한다. 이를 위해 유휴부지 등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생활문화 인프라 확장을 위해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등 행정수도 완성이 선행돼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세종이 국가주도의 계획도시인 만큼, 본 계획인 `행정수도 완성`이 진행에 따라 인프라 구축도 이뤄질 것이란 견해다.

김수현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장은 "국가 계획도시인 세종은 정부 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이다. 과거 정치권 등에서 행정수도 무용론과 같은 논란이 발생했을 때 도시 계획이 흔들린 일이 있었다"며 "세종이 계획도시인 점을 고려했을 때, 지역 인프라 확충을 위해선 행정수도 완성이 전제로 깔려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른 시일 내에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이 확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행정수도 완성이 힘있게 추진될 때 쇼핑·문화 등 민간 부분도 자연스럽게 역내로 유입되는 연쇄작용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천재상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천재상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